中실적부진에 日견제, 노사관계까지...비상등 켜진 車업계
中실적부진에 日견제, 노사관계까지...비상등 켜진 車업계
  • 뉴시스 기자
  • 승인 2019.07.08 15: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동차업계에 먹구름이 자욱하다. 중국 판매 부진이 깊어지고 있는데다 일본이 반도체에 이어 자동차 분야 경제보복에 나설 가능성도 제기된다. 내부적으로는 최저임금 등을 둘러싸고 노사관계가 악화되고 있어 자동차업계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을 비롯한 글로벌 완성차 판매가 위축되면서 하도급 거래의 말단에 있는 자동차 부품업체들부터 위기를 겪고 있다. 영세 부품업체들은 물론 상대적으로 건실한 1차 협력사들도 경영위기에 내몰리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 1위 완성차업체 현대자동차의 중국 소매판매실적은 2016년 113만3000대에서 2017년 81만7000대, 2018년 74만6000대로 매년 큰 폭의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올해 역시 1~5월 월 평균 판매가 4만5000대 수준에 그치며 누적 소매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3.7% 감소세를 나타냈다.



기아차의 중국 소매판매 역시 2016년 65만7000대에서 2017년 39만5000대, 2018년 35만8000대로 큰 폭 감소세를 나타냈다. 올 1~5월 누적 판매량은 13만2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8.5% 감소했다.



완성차업체들의 글로벌 판매가 위축되며 국내 자동차 1차협력사는 858개에서 831개사로 1년 만에 27곳 줄었다. 대표적 부품기업인 만도마저 최근 대규모 희망퇴직과 임원 감축에 나섰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일본의 보복 조치가 반도체를 넘어 자동차분야에 까지 미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국내 완성차업체들은 차량 한 대에 들어가는 3만여개의 부품 중 7000여개를 일본에서 수입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기아차의 경우 상당수 부품이 국산화돼 일본이 보복조치를 하더라도 큰 타격이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지만 르노삼성과 쌍용차 등은 일부 핵심부품을 일본에서 수입하고 있다.



수소차에 대한 일본의 견제도 노골화하고 있다. 일본은 지난달 G20에너지환경장관회의에서 미국 에너지부, EU에너지총국과 별도 회의를 열어 수소에너지기술개발에 대한 공동선언을 발표하는 등 한국을 의도적으로 배제했다.



세코 히로시게 경제산업상은 "수소와 연료전지 분야에서 앞서 나가고 있는 일본, 미국, EU가 협력을 강화해 세계를 주도해 나가고 싶다"고 밝혔다. 공동선언에는 수소전기차에 들어가는 수소탱크의 규격과 수소충전소 안전 기준 등에 대한 국제 표준을 만든다는 계획도 포함됐다.



정만기 자동차산업협회장은 지난 4일 자동차산업발전포럼에서 "우리에 대한 일본의 부품소재 수출규제가 확대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며 "규제가 확대되는 경우에는 생산 차질이 발생되지 않도록 모니터링 강화 등 민관 협조가 긴밀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내부적으로는 노사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현대차 노사는 추석 전 임금단체협상 타결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지난 4일 10차 교섭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노조측은 기본급 5.8% 인상과 당기순이익 30% 성과급 지급을 요구하고 나섰고, 회사측은 임금동결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기아차 역시 노조는 기본급 5.4% 인상과 영업이익 30% 성과급 지급을 요구하고 있고, 회사는 이에 맞서고 있어 타결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한국지엠의 경우 교섭장소 문제로 아직 교섭을 시작조차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NH투자증권 조수홍 연구원은 "최근 글로벌 자동차 수요 감소 추세는 경기순환적 요인 외에도 전동화, 공유경제 전환 등 자동차 산업의 구조 변화 요인에서도 기인한다"며 "따라서 장기적으로 글로벌 자동차 수요부진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조 연구원은 "현대·기아차의 올해 중국 판매 목표는 각각 86만대, 41만대인데 현재 판매현황은 계획과 괴리가 크다"며 "올해 현대차의 글로벌 판매 예상치를 전년 동기 대비 1.3% 감소한 720만대로 하향조정한다"고 밝혔다.



한국신용평가 김호섭 수석애널리스트는 "국내시장을 제외하고는 글로벌 주요 시장 전반의 영업환경이 저하된 상황"이라며 "신차 출시나 상품성 개선을 통해 단기적으로 시장수요를 웃도는 판매량 개선을 달성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부진한 시장 수요는 중장기적인 측면에서 매출 및 판매량 개선에 부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