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한 먹거리와 건강한 흙
안전한 먹거리와 건강한 흙
  • 김영호 충북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장
  • 승인 2019.05.19 19: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고
김영호 충북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장
김영호 충북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장

 

우리는 최근 들어 아침에 일어나면 제일 먼저 하늘을 보고 미세먼지 여부를 확인하는 습관이 생겼다. 미세먼지는 우리 몸에 동맥경화, 심근경색 등 만성질환의 원인물질인 1군 발암물질로 지정되면서, 국민들의 건강에 대한 불안감을 증폭시켜 사회적 관심 키워드 1위로 등장하게 되었다.

이런 사회적 분위기 때문인지 우리는 깨끗한 공기의 중요성은 모두가 인식하고 있지만, 우리에게 안전한 먹거리를 주는 흙에 대한 중요성을 얼마만큼 알고 있는지 궁금하다.

농촌진흥청에 의하면 흙의 환경적 가치는 2018년 전국 농경지는 159만 5000㏊로 한 해 동안 팔당댐 약 16개 크기의 물 저장 기능과 지리산 국립공원 171개의 이산화탄소 흡수효과 등 총 281조원 규모로, 양분공급에 179조 8000억원, 자연순환에 79조 1000억원, 식량생산에 10조 5000억원, 탄소저장에 6조 5000억원, 수자원 보존에 4조 5000억원 등 우리가 상상을 초월할 정도의 공익적 가치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흙은 농업생산의 근간이자 국민 삶의 터전이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국내 농업은 수확량을 늘리는 게 가장 중요시됐으나, 오늘날은 생산성뿐만 아니라 품질과 안전성, 자연환경과의 조화, 경제적인 합리성까지 요구되고 있다. 그 중 농산물의 안전성은 국민의 관심이 매우 큰 분야다. 특히 21세기 농업의 경쟁력은 신선도와 안전성으로 고품질 친환경 농산물의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과도 맥락을 같이한다.

최근 쌀 소비량 감소와 산업화로 농경지 면적은 급속하게 감소하는 추세다. 농산물의 안전관리는 국민건강 및 식량안보와 직결되는 문제로 농산물 생산기반인 농경지에 대한 오염예방 관리가 필요하다.

정부에서는 매년 많은 예산을 투입해 토양오염에 대한 조사와 복원사업을 활발히 수행해 왔지만 최근 농지로 유입되는 주변의 오염물질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 따르면 농지 오염으로 최근 10년 동안 중금속 오염생산물의 폐기실적이 980톤에 달하며 꾸준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런 결과는 농산물 오염이 대기오염물질, 관개수, 토양의 오염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반복적으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종합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토양오염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오염된 토양의 복원은 상대적으로 긴 시간과 많은 비용이 든다. 선진국은 이미 1900년대 초반부터 지속적인 토양 오염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물이나 공기를 항상 관리하는 것처럼 토양에 대해서도 상시 감시체계를 마련해 시행하고 있다.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환경부, 농촌진흥청과 도 농업기술원에서도 토양에 대한 오염조사를 꾸준히 해오고 있다.

선경지명으로 충북도는 건강한 흙의 중요성을 인식 2013년 유기농특화도 충북을 선포해 친환경 농산물 생산과 소비가 선순환하는 유기농 산업의 기반을 조성해 안전한 먹거리 생산이 전국에서 제일 앞서가는 계기가 되었다.

도 농업기술원에서는 11개 시군농업기술센터와 매년 4만 1000점의 토양조사와 지하수, 하천수 오염도 조사 그리고 토양 중금속 분석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앞으로는 도민들에게 안전한 먹거리를 위해 토양 농약잔류검사와 농작물 유통단계 잔류농약 부적합 예방을 위한 농산물 안전 분석실도 운영할 계획이다.

이제는 토양의 오염 여부 확인을 위한 조사에서 나아가, 오염 예방을 위한 중앙정부와 도, 시·군 간의 체계적인 상시 감시체계가 필요하다. 그것이 도민이 원하는 고품질 안전 농산물을 생산하는 밑바탕이 되리라 확신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