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연
사연
  • 김용례 수필가
  • 승인 2019.04.30 20: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生의 한가운데
김용례 수필가
김용례 수필가

 

4월도 다 갔다. 지상은 하루하루 새로운 꽃들이 피어나 아름다워지고 있다. 저 꽃들은 그 길고 추운 겨울 어디서 어떻게 살다가 저리도 예쁜 얼굴로 우리에게 찾아오는 것일까. 새로 태어난 것들은 하나같이 눈이 부시다.
작년부터 할머님들께 한글을 가르치는 봉사를 하고 있다. 매주 시를 한편씩 읽어드리는 것으로 수업을 시작한다. 오늘은 도종환 시인의 사연이라는 시를 읽어 드렸다. ‘한평생을 살아도 말 못하는 게 있습니다./ 모란이 그 짙은 입술로 다 말하지 않듯/ 바다가 해일로 속을 다 드러내 보일 때도/ 해초 그 깊은 곳은 하나도 쏟아 놓지 않듯/ 사살의 새벽과 그믐밤에 대해 말 안 하는 게 있습니다./ 한평생을 살았어도 저 혼자 노을 속으로 가지고 가는 아리고 아픈 이야기 하나씩 있습니다.’
이 시를 읽고 나니 다들 고개를 끄덕이신다. 살아온 세월을 어찌 말로 다 할 수 있으랴. 가난과 전쟁, 일제의 탄압을 견뎌온 이 땅의 어머님들의 생은 눈물겹다. 팔순이 넘었으니 이제는 곰삭을 만도 하련만 어제 겪은 일처럼 생생하게 기억하신다.
강원도 산골에서 농사짓고 동생들 키우느라고 학교에 못 갔다는 윤복순 할머님의 이야기가 시작되었다. 친정에서 고생하다가 스무 살에 시집을 왔더니 큰애 낳고 남편이 입대를 하더란다. 그런데 이 남편이 탈영했단다. 시아버지가 산속에 움막을 지어놓고 거기서 5년을 숨어서 살았단다. 할머니 말씀을 그대로 옮기자면 “숨어 살다가 들통이 났어요. 경찰한테 끌려가는데 얼마나 두들겨 패는지 볼 수가 없대요. 사람이 저리 맞아도 사나 싶데요.” 징역살이를 한 칠 년 하고 나오더니 술 먹고 놀음을 하더란다. 자식들 두고 도망갈 수가 없어서 고생하면서 4남매를 키웠단다. 그 아들, 딸들이 지금은 얼마나 잘하는지 그 애들한테 고맙다는 편지를 쓰고 싶은데 글을 몰라 배우러 오셨단다. 이 사연을 듣고 또 한 분은 그게 무슨 고생이냐고 당신 고생은 더 했단다. 3살에 엄마가 돌아가시고 4살에 아버지까지 돌아가셨단다. 자식에게 부모는 세상 전부다. 가난에 어려서 부모를 잃었으니 그 고생은 듣지 않아도 뻔하다. 굶기를 밥 먹듯 했으니 글은 배울 엄두도 내지 못하셨단다.
또 한 분은 열일곱에 시집을 왔는데 아이가 생기지 않더란다. 눈만 뜨면 애도 못 낳는 것이라며 집을 나가라고 시작되는 시부모님의 모진 구박을 8년이나 견디셨단다. 그래도 남편이 “나는 저 여자를 입에 물고 죽는 한이 있어도 다른 사람은 보지 않겠다.”며 당신을 싸고돌더란다.
눈물겹지 않은 사연이 없다. 어떻게 그 모진 세월을 살고도 저 순박한 미소가 남아있을까 싶다. 20명 중 칠순을 넘긴 몇 분을 제외하면 다 팔순을 훌쩍 넘기셨다. 글을 배우지 못한 사연들은 눈물 없이 읽을 수 없는 한 편의 소설이다. 오늘은 글자 한 자 더 배우지 않아도 어머님들 가슴 속에 있던 응어리를 풀어놓는 것만으로도 보람 있는 수업이다. 글을 모르는 것이 부끄러워 남편에게도 자식들에게도 말하지 못하고 이제 남편 먼저 저 세상에 보내고 자식들 짝 채워 내보내고 팔순이 다 되어 비로소 글을 배우는 것이다. 본인 이름보다 제일 먼저 쓰고 싶었던 금쪽같은 자식들 이름을 쓰고 눈물이 났다는. 글을 배우니 세상이 다시 보인다는 어머님들의 미소가 쓸쓸하다.
그 모진 생을 살았으니 차마 누구에게도 말할 수 없는 사연을 가슴에 품고 인생의 노을을 바라보는 것이다. 선운사 뒷마당 고목에서 피어난 홍매화의 짙은 향기가 어머님들에게서 난다. 아무리 모진 인생에도 기쁨의 순간이 있듯이 아무리 찬란한 인생도 말 못할 사연 하나 쯤은 있다. 말로 할 수 있는 사연은 그래도 괜찮은 것이다. 시인의 말처럼 차마 할 수 없는 이야기가 누구나 하나씩은 있을 것이다. 어찌 한 생을 살아가는데 비바람이 없을 수 있겠는가. 견뎌내는 것이 인생인 것을. 오월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