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중앙아시아서 경제 활로 찾는다…'신북방외교' 본격 시동
文, 중앙아시아서 경제 활로 찾는다…'신북방외교' 본격 시동
  • 뉴시스 기자
  • 승인 2019.04.17 16: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카자흐와 교통·물류 협력 확대하고 ICT 노하우 전수
우즈벡과는 보건·의료 협력 e-헬스케어 분야로 확장

투르크멘에서는 에너지 인프라 사업 참여 기회 모색

중앙亞, 성장세 꾸준하고 자원 풍부…교역 다변화 기회



문재인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부터 본격적인 순방 일정을 시작한 중앙아시아 3국은 정부가 추진 중인 '신(新) 북방정책'의 중요한 협력 파트너들이다.



신북방정책의 중심에는 러시아가 있지만 경제력, 인구, 외교적 영향력 등을 감안할 때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등 중앙아시아 3국의 비중도 무시할 수 없다는 평가다.



특히 중앙아시아는 저유가 국면 탈피 후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높은 경제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보여 향후 우리나라와 다양한 경제 협력이 기대되는 지역이다.



카자흐스탄은 올해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1만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는 중앙아시아 1위 경제국이다. 교통·물류 연계 측면에서 가장 핵심적인 위치에 있어 우리가 신북방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협력이 필요하다. 원유와 우라늄 등 지하 자원도 풍부하다. 또 경제 개발 계획에 큰 관심을 갖고 있어 우리의 발전 경험을 전수하며 협력을 확대할 수 있는 여지도 크다.



우즈베키스탄의 경우 인구가 중앙아시아 최대인 3300만 명에 달하고 연간 5%를 넘는 꾸준한 경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는 나라다. 하지만 농업과 광업에 의존한 경제 구조로 1인당 국민소득이 2000 달러 대에 머물고 있어 산업 구조 현대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우리나라가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투르크메니스탄은 천연가스 매장량이 세계 4위인 자원 부국이다. 또 중국, 인도, 유럽을 연결하는 곳에 자리잡고 있다는 지정학적 장점도 있다. 투르크메니스탄은 고부가가치 석유화학 산업을 육성하고 역내 수송 허브를 구축한다는 계획이어서 우리 기업의 다양한 인프라 사업 참여가 가능하다.



지금까지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우리나라의 교역 규모는 주요 무역 상대국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았다. 우리나라는 신남방정책의 파트너인 아세안(ASEAN) 국가들과의 교역 규모는 연간 1600억 달러(약 182조원)에 달하지만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교역 규모는 연간 44억 달러(약 5조원) 수준에 불과하다. 그만큼 앞으로 교역을 확대할 여지가 크다는 뜻이다.



문 대통령은 이번 순방 기간 동안 우리 기업의 현지 진출을 촉진하고 에너지·교통·물류·인프라 등 전통적인 산업 분야 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ICT 등 미래 성장 분야에서도 협력 가능성을 모색할 계획이다.



첫 방문지인 투르크메니스탄에서는 한국-투르크메니스탄 경제협력 프로그램을 논의할 예정이다. 기존 에너지 플랜트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을 넘어 교통·물류, 헬스케어, ICT, 제조업 등으로 협력 분야를 다변화한다는 구상이다.



우즈베키스탄에서는 지난 2017년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대통령 방한 이후 보건·의료, 헬스케어 분야에서 만들어 온 협력 성과를 e-헬스케어 등 ICT 융합 산업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우즈베키스탄은 우리 의료 산업에 대해 관심이 큰데다 우리의 의료 경쟁력과 5세대 이동통신(5G) 산업이 연계되면 새로운 해외 진출의 기회가 생길 수 있다는 게 청와대의 판단이다.



문 대통령은 마지막 방문지인 카자흐스탄에서 7억4000만 달러 규모 '알마티 순환도로 건설사업'에 우리 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정상 차원의 측면 지원을 할 예정이다. 아울러 카자흐스탄이 '디지털 카자흐스탄' 프로그램을 추진하는 등 산업 혁신에 관심이 큰 점을 감안해 5G, 빅데이터 등의 협력 방안도 논의할 계획이다.



중앙아시아를 포함한 북방경제권은 인구 4억명, GDP 3조 달러의 신흥 경제권을 형성하고 있다. 현재는 러시아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크지만 중앙아시아 3국도 풍부한 자원과 높은 성장세를 바탕으로 영향력을 확대해갈 것으로 예상된다.



신북방정책이 경제 협력과 냉전체제 극복, 북한 비핵화를 병행 추진하는 구상인 만큼 문 대통령은 중앙아시아 3국을 상대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에 대한 지지를 이끌어내는 데도 힘을 쏟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카자흐스탄은 1990년대 구소련 붕괴 후 자국에 보유했던 핵무기를 포기하고 미국으로부터 경제 지원을 받은 경험이 있어 비핵화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기회도 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관계자는 "중앙아시아 3개국은 북방경제권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신북방정책의 핵심 대상 지역"이라며 "이번순방은 문 대통령의 첫 번째 방문이라는 점에서 신북방정책의 외연을 본격적으로 확장한다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