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남겨진 우리의 책무
세월호, 남겨진 우리의 책무
  • 연지민 기자
  • 승인 2019.04.15 20: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청논단
연지민 부국장
연지민 부국장

 

4월 16일 오늘은 세월호 5주기다. 모든 국민이 기억하고 싶지 않은 그날이 벌써 5년의 시간을 지나왔다. 온 국민을 트라우마 속으로 밀어 넣은 그날의 참사는 상처와 눈물, 분노로 점철돼 촛불로 이어졌고, 이는 우리나라 정치, 사회, 문화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시시각각 변하는 세계 흐름과 국제 정세로 인해 세월호에 대한 사회적 기억은 망각에 가깝다. 끔찍한 사건은 더 빨리 잊고 싶어하는 심리가 작용해서인지 시간이 흐르면서 세월호에 대한 피로감을 이야기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아마도 이런 심리의 저변에는 정치적으로 이용되는 것에 대한 국민의 우려도 담겼다고 보인다. 기만에 가까울 정도로 세월호로 갈등만 부추겼던 정부와 정치권이고 보면, 정치에 대한 불신도 우리 국민에게 선택이란 과제로 남겨 있는 셈이다.

세월호 참사 이후 안전에 대한 국민적 불안은 구멍 난 사회안전망을 점검하는 계기가 되었지만, 그러나 세월호 유가족들에게는 여전히 5년 전 그날에 시계가 멈춰져 있다. 사건의 진상 규명이 숱한 의혹을 해소하기엔 역부족이기 때문이다.

국민의 관심도 점차 멀어지는 가운데 5주기를 앞두고 세월호 유가족들은 다시 한번 진상 규명을 요구하고 나섰다. 마지막일 수 있을 거라는 생각에 절박한 심정으로 진상 규명을 촉구하고 있는 유가족들은 침몰 원인이라도 제대로 밝혀졌으면 하는 간절한 바람이라고 했다. 사고 원인도 모른 채 자식을 가슴에 묻을 수 없는 부모의 마음이 고스란히 전달되는 순간이었다.

5년이란 세월이 흐르는 동안 세월호는 제자리걸음만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정치와 사회, 문화적으로 큰 변화가 있었지만 세월호만은 그대로다. 대형 참사임에도 침몰 원인조차 확실하게 규명되지 않았고, 책임자 처벌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304명이 이 사건으로 목숨을 빼앗겼는데도 책임지는 사람은 없었다. 월급쟁이 선원 몇 구속하는 것으로 책임 소지가 흐지부지될 처지에 놓였고, 이해할 수 없는 상황이 지금도 연장되고 있을 뿐이다.

세월호가 바다에서 건져 올려지고도 진상조사에 뚜렷한 진전이 없으면서 애가 타는 것은 유가족들이다. 위원회의 특성상 수사권이 없다 보니 책임을 묻는 조사범위도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유가족들은 특별법을 만들어 별도의 수사단을 구성하거나, 특조위에 수사권을 부여해달라는 요구를 하고 있지만, 법적 근거가 없어 이마저 쉽지 않다.

세월호에 대한 진상조사가 다각적으로 진행되면서 침몰 원인도 혼선을 빚고 있다. 무리한 증·개축으로 인한 것인지, 기계의 결함인지를 두고도 전문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서 진상 규명도 어려운 상황이다. 그런가 하면 2기 특별조사위원회가 참사 당시 해군과 해경이 CCTV를 조작한 것으로 의심된다는 정황을 확인하면서 세월호는 왜 그렇게 큰 변침이 일어났었는지, 선체 외판에 외부 충돌로 의심할 수 있는 흔적은 무엇으로 설명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한 의혹 규명도 요구되고 있다.

시간이 지난 만큼 세월호의 진상 규명도 갈 길이 멀어 보인다. 그렇다고 봉합하는 방식의 진상 규명은 안 된다. 침몰 원인을 두고 혼선을 빚고는 있지만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조사에 임해야 한다. 퍼즐 조각 맞추듯 하나하나 의혹을 제거해나갈 때 사고 규명도 제대로 할 수 있다. 혼선을 감수하더라도 유가족들이 납득할 수 있는 진상조사가 선행돼야 한다. 더 많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지켜봐 주고 참사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기억하는 것이 남겨진 우리들의 책무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