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교육, 수혜자 입장에서 다시 생각하자
충북교육, 수혜자 입장에서 다시 생각하자
  • 이형모 기자
  • 승인 2019.03.17 19: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데스크의 주장
이형모 취재총괄팀장(부국장)
이형모 취재총괄팀장(부국장)

 

명문고 문제로 지역의 논쟁이 뜨겁다. 이시종 지사가 명문고 설립을 제안하면서 시작된 논란은 충북도와 도교육청의 갈등을 넘어 지역사회 전반으로 확산하고 있다.

이 지사가 명문고를 만들자고 제안한 배경에는 학생들의 학력 저하에 대한 우려가 저변에 깔려 있는 듯하다. 지난해 충북지역 고3 학생들의 수능성적이나 상위권 대학 진학률 결과는 충격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공개한 2018학년도 수능성적 분석 자료에 따르면 1·2등급을 받은 우수학생 비율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14번째에 머물렀다. 2006년 109명의 도내 학생이 서울대에 입학했으나 2013년 86명, 2014년 66명, 지난해 52명으로 반토막이 났다.

물론 명문대에 많이 진학시키는 게 올바른 교육은 아니라는 점에는 공감한다. 다만, 명문고나 명문대에 가고 싶어하는 학생들이 있는 한 여건을 만들어주는 것 또한 교육당국의 역할이다.

이런 학생들에게 하향 평준화를 강요하거나 외지로 나가는 것을 외면하는 듯한 태도는 역차별이고, 능력에 맞게 균등한 교육을 받을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다.

입시위주의 대입제도가 바뀌지 않는 이상 진학 선택의 폭을 넓히도록 명문고를 만드는 게 올바른 방향이라고 본다. 이번 논란에서 또 하나 공교육 강화가 빠져 있다는 점은 아쉽다. 사교육비 때문이다.

교육부와 통계청이 내놓은 자료에 2018년 충북의 사교육비는 1인당 월평균 2017년 19만원에서 지난해 24만4000원으로 28.4% 늘었다고 한다.

증가율을 따지면 전국 17개 시·도 중에서 가장 높다고 나왔다. 고2 자녀를 둔 학부모 입장에서 공감한다.

둘째 아이가 지난 2월 갑자기 학교 기숙사를 나오고 싶다는 말을 했다. 학원에 다니며 수학 과목을 보충하고 싶다는 게 이유였다.

수업 진도가 선행학습을 전제로 나가다 보니 기숙사에서 혼자 공부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했다.

그래서 학원을 알아봤더니 학원 진도는 이미 고3 수준까지 가 있었다. 결국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수 십만원을 들여 과외를 받게 할 수밖에 없었다.

이번 경험으로 공교육에 대한 신뢰와 믿음이 한순간에 무너졌다. 다른 시도에 비해 충북의 사교육비가 왜 늘어나는지 그 이유도 알게 됐다.

이제 충북의 교육 정책 방향을 공교육 `혁신'에서 `강화'로 바꿔야 한다. 우선 학부모가 행복하지 않다. 늘어나는 사교육비를 감당하기 힘겹고, 아이들의 학력 저하가 우려할 만한 수준이 됐다는 게 이유다.

대다수 아이들도 행복교육을 딴나라 이야기처럼 들린다고 한다. 오히려 가야 할 학원이 늘어나는 데 불만이 커지고 있다.

미래의 인재 교육은 공부만 잘하는 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자신의 재능과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데는 같은 생각이다. 그런 측면에서 행복씨앗 학교는 미래교육의 새로운 모델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새로운 모델을 시행하다 보면 반발과 부작용이 뒤따를 수 있다. 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은 기존 교육의 틀부터 강화해야 한다. 무엇보다 새로운 교육방식에 공감하는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해야지 밀어붙여서 될 일이 아니다.

오랜 세월 숱하게 교육제도를 바꿔봤지만 아직도 논란이 많은 게 한국교육의 현실이다. 내 아이가 행복하게 교육받으면서 학력 수준도 남들에게 뒤처지지 않길 바라는 게 학부모 마음이라는 것을 교육당국은 잊지 않길 바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