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 부모로서 해 줄 단 세 가지
입학, 부모로서 해 줄 단 세 가지
  • 신미선 수필가
  • 승인 2019.03.12 20: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生의 한가운데
신미선 수필가
신미선 수필가

 

삼월이다. 파릇파릇 새싹이 돋고 학교는 개학하며 입학식을 치른다. 긴 겨울 동면에 들었던 교정에는 나무들이 깨어나고 계단을 오르듯 한 학년씩 올라선 아이들은 저마다 새로운 교실을 찾아 분주히 움직인다.

나의 일터, 유치원에서도 입학식이 있었다. 올망졸망 아이들이 부모님의 손을 잡고 활짝 열어 놓은 식장을 향해 봄처럼 들어왔다. 헤세의 데미안이 그랬듯 그것은 마치 새로운 세상을 향해 알을 깨고 나오는 새들 같았다. 한 명 한 명이 귀엽고 사랑스러운 화사한 걸음이었다. 그렇게 꼭 이십 년 동안 한 해 두 해 꽃보다 예쁜 아이들을 만나고 졸업시키고 다시 만났다.

예전에는 입학식을 하고 나면 한동안은 교실마다 눈물이 바다를 이루었다. 처음으로 접하는 낯선 공간에 홀로 남겨진다는 두려움 때문일까. 어린 아이들의 까만 눈에서 눈물이 비처럼 흘렀다. 교사들은 우는 아이를 달래느라 며칠을 수업도 하지 못했다. 엄마들도 떨어지지 않으려는 아이가 안쓰러워 긴 시간 현관문 앞에서 손을 잡고 다독이며 아이를 안정시키곤 했다. 점차 울던 아이가 웃기 시작하고 차츰 새로운 환경에 익숙해지기까지 거의 열흘 정도가 소요되었다.

요즘은 어떨까. 대부분 맞벌이 가정으로 입학 당일부터 아이를 맡기고 저녁 늦게 퇴근과 함께 아이를 데려간다. 다음날에도 아이가 신발을 벗는 것조차 살필 여유 없이 바쁘게 뒤돌아서서 직장으로 내 달린다. 아이가 울며 매달리는 광경은 이제 극히 드물다. 무덤덤하게 자기 자리를 찾아 앉고 창문 너머 어둠이 내려도 동요하지 않는다. 시대가 그러려니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감정에 메마른 아이들이 걱정도 된다. 주의집중에 어수선하고 친구와 함께하는 놀이에 이기심을 드러내며 양보도 배려심도 부족하다.

모든 것에는 다 때가 있다고 부모나 가족관계 안에서 안정적인 신뢰를 다져 놓아야 할 때를 생략한 아이는 정서에 결함이 생긴다. 그리고 비 온 뒤 죽순 자라듯 쑥쑥 자라는 아이들은 더 이상 어른들을 기다리지 않는다. 더 늦기 전에 서로의 눈을 바라보고 들어줄 줄 알며 함께하는 공동체의 감사함을 느끼는 아이로 자랄 수 있도록 하루 잠깐이라도 내 아이의 성장에 관심을 가져보자. 여기 한 시인의 시 한 편을 읽어보자.

“내가 부모로서 해줄 것은 단 세 가지였다/ 첫째는 내 아이가 자연의 대지를 딛고/ 동무들과 마음껏 뛰놀고 맘껏 잠자고 맘껏 해보며/ 그 속에서 고유한 자기 개성을 찾아갈 수 있도록/ 자유로운 공기 속에 놓아두는 일이다/ 둘째로 `안 되는 일은 안 된다'를 새겨주는 일이다/ 살생을 해서는 안 되고/ 약자를 괴롭혀서는 안 되고/ 물자를 낭비해서는 안 되고/ 거짓에 침묵 동조해서는 안 된다/ 안 되는 것은 안 된다!는 것을/ 뼛속 깊이 새겨주는 일이다/ 셋째는 평생 가는 좋은 습관을 물려주는 일이다/ 자기 앞가림은 자기 스스로 해나가는 습관과/ 채식 위주로 뭐든 잘 먹고 많이 걷는 몸 생활과/ 늘 정돈된 몸가짐으로 예의를 지키는 습관과/ 아름다움을 가려보고 감동할 줄 아는 능력과/ 책을 읽고 일기를 쓰고 홀로 고요히 머무는 습관과/ 우애와 환대로 많이 웃는 습관을 물려주는 일이다”(박노해, <부모로서 해줄 단 세 가지>중에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