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의 최전선
글쓰기의 최전선
  • 정선옥 충북도중앙도서관 사서
  • 승인 2019.01.28 20: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서가 말하는 행복한 책읽기
정선옥 충북도중앙도서관 사서
정선옥 충북도중앙도서관 사서

 

새해에는 독서모임에서 글쓰기를 공부한다. 지역신문에 칼럼을 쓴지 10년이 지났는데 글쓰기는 여전히 어렵다. 전문 강사에게 강의를 들으면 좋겠지만, 때로는 책도 훌륭한 멘토가 된다.

첫 책으로 `글쓰기의 최전선(은유 저·메멘토)'을 선택했다. 은유 작가는 작년에 우리도서관에서 중·고등학생 대상으로 진행한 1318 독서마라톤 해단식에 초청한 강사다. 그녀는 글쓰기의 요령으로 설명하지 말고 보여줘라, 부사 사용 금지, 과잉감정 금지, 퇴고하기를 말한다. 퇴고하기에 좋은 방법은 소리 내어 읽어보고 걸리는 부분은 수정하는 것이다.

`글쓰기의 최전선'은 저자가 글쓰기 수업을 하면서 학인들과 나누었던 내용을 담고 있다. 책에는 `학인'호칭이 자주 나오는데, 우리가 흔히 말하는 수강생, 문하생의 다른 표현으로 `아직 더 배울 것이 남아 있는 사람'이라는 사전적 해석이 마음에 든다.

글쓰기의 구체적인 방법을 알려주는 개론서는 아니지만, 글을 왜 써야 하는지, 우리의 삶, 관계, 글을 써야 하는 이유를 제시한다. 시집, 인문도서 등 함께 읽은 책들, 유년, 청춘, 연애 등 키워드 글쓰기, 감동을 넘어 감응하는 글쓰기, 사유 연마 등 글쓰기 방법도 들려준다. 부록으로 엮은`글쓰기 수업 시간에 읽은 책들'도서 목록과 간단한 리뷰는 글쓰기 공부에 도움되겠다.

감동을 넘어 감응하는 글쓰기라는 표현이 신선하다. “감동이 가슴 안에서 솟구치는 느낌이라면 감응은 가슴 밖으로 뛰쳐나가 다른 것과 만나서 다시 내 안으로 들어오는 `변신'의 과정까지 아우른다. 감동보다 훨씬 역동적인 개념이다.” 감응은 타인에 대한 깊은 이해와 배려다. 저자는 감응 능력을 키우는 방법으로 시집 읽기를 꼽는다. 문태준의 `가재미', 최승자의 `이 시대의 사랑', 감사인의 `가만히 좋아하는' 시집은 다행히 낯익다.

그녀는 글을 쓰면 무엇이 좋을까 라는 질문을 던지며 “딱 이만큼이다. 생의 모든 계기가 그렇듯이 사실 글을 쓴다고 크게 달라지는 것은 없다. 그런데 전부 달라진다. 삶이 더 나빠지지는 않고 있다는 느낌에 빠지며 더 나빠져도 위엄을 잃지 않을 수 있게 되고, 매 순간 마주하는 존재에 감응하려 애쓰는 `삶의 옹호자'가 된다는 면에서 그렇다.”

내가 의도하지 않은 대로 삶이 흘러갈 때, 관계에서 오는 피로감이 클 때 글을 쓴다. 깊은 밤 작은 불빛에 의지한 채 글을 쓰면 삶이 간결해지는 느낌이다. 가끔은 책에서 한 줄기 빛을 발견한다. “우리 삶이 불안정해지고 세상이 더 큰 불행으로 나아갈 때 글쓰기는 자꾸만 달아나는 나의 삶에 말 걸고, 사물의 참모습을 붙잡고, 살아 있는 것들을 살게 하고, 인간의 존엄을 사유하는 수단이어야 한다고 나는 믿는다.”

글쓰기의 당위성을 알려주는 보석 같은 책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