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나기
겨울나기
  • 반영호 시인
  • 승인 2019.01.17 19: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時 論
반영호 시인
반영호 시인

 

날씨가 추워지면서 서둘러 새장을 사무실로 옮겨야만 했다. 새들은 추위에 약하다. 문조는 더욱 그렇다, 원산지가 말레이시아반도, 수마트라, 보르네오, 중국 남부, 인도의 일부 지역으로 따뜻한 지방에서 자라는 새이기에 우리나라에서의 겨울나기는 힘겨울 수밖에 없다.

여러 종류의 새 중에 유독 문조만을 사무실로 들이는 데는 특별한 이유가 있다. 문조는 털이 빠지지 않는다. 많은 사람이 새 기르기를 꺼리는 이유 중 하나가 털 때문이 아닌가 싶은데 문조는 이를 극복한 유일한 새이다. 알려지기에는 관상조이지만, 애정을 가지고 어려서부터 훈련을 시키며 손 놀이를 가르치면 훌륭한 애완조로 주목받을 수 있는 새이다.

원산지에선 논이나 밭에 떼 지어 다니며 참새처럼 곡식을 해치는 새였는데 집에서 기르면서부터 가장 사랑받는 새가 되었다. 문조는 새 중의 귀족이다. 특히 온몸이 눈처럼 하얀 백문조는 그 기품이 귀족답다. 앵무새만큼이나 많이 키우는 새이기도 한데 옛날 선비들이 사랑하고 키웠던 새라 문조라고 불렸다. 그래서인지 문(文)자의 의미가 풍기듯이 고상하고 기품이 넘친다. 그래서 옛 선비들이 즐겨 기르던 새인 모양이다. 문조는 흑문조 백문조가 가장 많고, 흔하진 않지만 파스텔문조, 갈색문조, 청문조, 크림문조 등 색깔이 다양한데 내가 기르는 새는 백문조와 흑문조 두 쌍이다.

사무실로 옮기고 나서 새의 가슴을 보고 놀랐다. 수놈들의 가슴팍 털이 뽑혀 맨살이었던 것이다. 하도 의아해 자세히 관찰하니 부리로 가슴 털을 뽑아 부란통으로 들어가는 것이었다. 며칠 후 부란통을 열어 보았다. 과연 그곳에는 이미 많을 털을 모아 아늑하고 포근한 보금자리로 만들어 놓았었다. 내가 무심했었구나. 깃풀이라도 넣어주었어야 했는데….

사실 문조는 봄부터 가을까지가 번식철이다. 수컷이 횃대 위에서 폴짝폴짝 뛰는 구애춤을 추면서 발정이 오는 것인데 한 겨울에 번식할 줄이야 꿈에도 생각지 못했다. 암컷이 알을 안전하게 낳게 하려고 자신의 가슴 털을 뽑아 보금자리를 만든 것이다. 기특하기도 하여라.

새 중에 부부애가 좋기로는 잉꼬가 으뜸이다. 잉꼬는 앵무새의 또 다른 이름으로 주로 크기가 작은 앵무새를 가리키는데 잉꼬는 앵가(鸚哥)라는 한자를 일본어로 읽은 이름이다. 이는 근본적으로는 앵무(鸚鵡)새와 동일한 종류의 새를 말한다. 잉꼬는 서로 마음에 들면 입속의 것을 서로 나누어 먹는 습성이 있어 러브버드라고 불리며 잉꼬부부의 어원도 여기서 나온 말이다.

잉꼬만큼 사랑새로 알려진 건 원앙인데 실제 원앙금은 신혼부부가 함께 덮는 이불을, 원앙침은 부부가 함께 베는 베개를 가리키고 있다. 예부터 원앙은 부부간의 애정을 표현하는 동물로 알려졌다. 신혼부부들이 가장 바라는 금슬 좋은 부부의 상징이다. 원앙은 부부가 항상 같이 다니기 때문에 부부간의 금실이 좋은 새로 인식되었고, 그것을 바탕으로 원앙이 부부 사이의 금슬을 좋게 해준다고 믿었던 사람들은 결혼할 때 원앙 조각 또는 원앙을 수놓은 이부자리 심지어 원앙 한 쌍을 선물하기도 했다. 하지만, 실제 원앙은 부부금실이 그다지 좋지 않다.

부부애가 유다른 아들 내외다. 돌이 지난 지 한 달여 지난 손녀는 아직도 모유를 먹는다. 어떻게든 떼어보려고 애를 쓰는 모습이 역력한데, 그럴수록 아이는 죽자사자 매달리고 보챈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안절부절인 마음 여린 며느리를 지켜보는 마음이 안쓰러워 못 보겠지만 어찌하랴. 어차피 둘째를 가질 결심이면 나이도 있는데 하루라도 빨라야 좋지 않은가. 황금돼지띠를 가진 손자가 되기를 고대해 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