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운기
김운기
  • 정인영 사진가
  • 승인 2018.11.22 17: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가를 말하다

 

 


평생을 사진으로 살아온 김운기. 그는 소년시절 아버지가 근무하던 광산의 소장이 취임하는 날 일본 사람이 보자기를 뒤집어쓰고 아버지 친구들을 찍는 모습이 신기해서 사진의 꿈을 가졌다고 한다. 그러나 자신이 처음 사진을 찍은 것은 1951년 진천에서 도민증을 만들기 위해 한번에 네 컷이 나오는 자바라 스프링카메라 앞에서였다.

2013년 말 평생직장의 아쉬움을 접고 난 후 그동안의 사진작업을 정리 중이다. 그렇다고 그가 사진 찍는 일을 끝낸 것은 아니다. 이틀이 멀다 하고 카메라 장비를 잔뜩 챙겨 집을 나서고 있으니. 그는 말한다. “나의 머릿속에는 `사진'이라는 두 글자가 항상 깊이 뿌리박혀 있다”고.

사진을 배운 것은 1952년 4월 충청일보사에 문선견습공으로 취직하면서다. 당시 박봉이었고, 어릴 적 꿈도 키우고 싶어 신문사 근처에 있는 신라사진관에 자주 놀러 가 그곳에서 청소하면서 사진을 배웠다. 처음 카메라를 만지던 순간 잔뜩 흥분된 마음으로 반드시 사진으로 성공할 것을 다짐했으나 마땅히 가르쳐 줄 선생이 없었다.

사진관에 근무하는 기사 두 명에게 매일 담배 두 갑을 사 주며 이것저것 물어보고 배우다가 주인의 권유로 친구와 둘이서 사진관을 세내어 경영했다. 그러나 몇 달도 되지 않아 경험부족으로 문을 닫았고, 서울 제기동에 사진관을 차려 운영하다 1년 반 동안 신통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1959년 군에 입대한 그에게 기회가 왔다. 육군 통신학교에서 사진 찍고, 현상과 인화를 배우고 익히면서 사진을 연구하게 된 것이다. 성실하게 하다 보니 뛰어난 사진실력을 발휘하였고 학교장의 각별한 신임 아래 제대할 무렵에는 훌륭한 사진가가 되어 있었다.

군 제대 후 충청일보에 재입사하여 문선공겸 사진기자로 일하던 중 중역의 비리를 항의하다 그만두고 출판사에서 7년을 근무한 후 충청일보 사진기자로 다시 돌아왔다. 신문사에서 그의 카메라 페츄리 쎄븐대신 아사히 펜탁스 SB를 사주었다. 1972년 충북 단양의 수해(1945년 광복 후 최대홍수)를 취재하던 중 그가 탄 헬기가 추락하는 사고가 났다. 당시 카메라를 안고 떨어졌지만, 구사일생으로 살아난 후 인생을 두 번 살고 있다고.

대청댐 수몰 전 예정지역을 사진으로 남겼다. 마을마다 즐비한 초가집, 장승과 그것을 섬기는 사람들을 밤낮없이 찍으면서 자신이 두고 온 고향을 수몰현장에서 되새기는 맛을 누렸다. 그 사진을 정리해 1997년 청주에서 78점을 전시하고 이듬해 청원군 문의면에서도 전시했다. 이 소식을 듣고 몰려온 수몰이주민들이 서로 붙들고 통곡했다. 그들이 살았던 정든 산천이 사진 속에 있었고, 물속에 사라진 집과, 돌아가신 부모가 눈앞에 펼쳐졌으니 너나없이 넋을 잃었을 정도였다. 그날을 잊지 못한다는 김운기는 `고향이야기'출간 즉시 수몰민들에게 제일 먼저 책을 주었다.

60여년 사진과 함께 살아온 그에게 `고향'은 어떤 곳일까. 신문사 사진기자로, 사진가로 평생을 삶의 현장에서 녹여온 그의 사진은 남루했던 지난날 우리들의 고향과, 그 고향을 파수꾼처럼 지켜온 어머니들의 모습이 담겨 가슴 저미는 아픔과 서러움을 일깨워 준다.

고향이란 얼마나 포근하고 따스하며 정이 넘치는 곳인가. 그의 사진들은 지금은 사라져간 지난 20세기 농촌 사회의 소중한 기억이 서린 기억의 비망록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