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세종 등 5곳 자치경찰제 도입
내년 세종 등 5곳 자치경찰제 도입
  • 뉴시스 기자
  • 승인 2018.11.13 20: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치분권위 초안 공개
자치경찰本 등 신설 … 시·도경찰위 지휘
현장 중심·주민 밀착형 치안서비스 제공
2022년까지 4만3000명 자치경찰 전환
첨부용. 1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통령 소속 자치분권위원회 '자치경찰제 특별위원회안 발표 및 정책토론회'에서 정순관 위원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2018.11.13. /뉴시스
첨부용. 1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통령 소속 자치분권위원회 '자치경찰제 특별위원회안 발표 및 정책토론회'에서 정순관 위원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2018.11.13. /뉴시스

 

자치경찰제가 내년 하반기부터 서울, 제주, 세종 등 5개 지역에서 시범운영을 거친 뒤 2020년 전면 시행된다. 국가경찰은 광역범죄에 적극 대응하고 별도로 자치경찰제를 도입해 현장 중심의 치안활동 수행, 주민 밀착형 치안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대통령소속 자치분권위원회(자치분권위)는 13일 자치경찰제 특별위원회(자치경찰특위)가 마련한 자치경찰제 도입 초안을 공개했다.

도입 초안에 따르면 광역단위 자치경찰제의 모형으로 시·도에 자치경찰본부와 시·군·구에 자치경찰대가 신설된다. 주민밀착 치안활동을 위해 현재 국가경찰 소속의 지구대와 파출소는 사무배분에 따라 자치경찰로 이관된다. 국가경찰은 자치경찰 이관만큼 조직·인력을 축소하고 중대·긴급사건을 위한 `지역순찰대'를 존치한다.

최종적으로 2020년까지 지역경찰, 교통 등 전체 국가경찰(11만7617명)의 36%인 4만3000명을 자치경찰로 이관한다. 자치경찰도 국가경찰 소속의 112상황실에 합동 근무하며 업무 떠넘기기 등 현장혼선을 방지하고 정보공유와 신고·출동 관련 공동대응 체계를 구축한다.

자치경찰은 시·도 소속 특정직 지방공무원으로 하되 초기에는 국가직을 유지하고 단계적으로 지방직으로 전환한다. 자치경찰본부장과 자치경찰대장은 시·도경찰위원회의 추천을 받아 시·도지사가 임명한다. 자치경찰대장 임명 시에는 시·군·구청장의 의견을 청취토록 해 기초자치단체와 상호 연계성을 증진한다. 국가경찰은 국가와 자치경찰, 시·도 자치경찰 간 인사교류, 자치경찰의 교육·훈련 등을 지원한다.

자치경찰은 생활안전, 여성청소년, 교통, 지역경비 등 주민밀착 민생치안활동과 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성폭력, 학교·가정폭력, 교통사고, 음주운전, 공무수행 방해 등 수사를 담당한다. 국가경찰은 정보·보안·외사와 수사, 전국적·통일적 처리를 요하는 민생치안 사무를 담당한다.

자치경찰의 정치적 중립성 확보와 자치단체장의 권한남용 방지도 제도화한다. 시·도지사의 경찰직무에 대한 직접적인 지휘·감독은 인정하지 않고 시·도경찰위원회가 자치경찰을 관리하도록 한다. 시·도 경찰위원 5명은 시·도지사가 임명한다. 1명은 시·도지사가 지명한다. 시·도지사는 시·도의회 2명, 법원 1명, 국가경찰위에서 1명을 추천받는다.

자치경찰제 도입은 급격한 제도변화에 따른 혼선과 부작용 방지를 위해 사무·인력·실시지역을 단계적으로 확대 추진한다. 내년 서울, 제주, 세종 등 5개 지역(자치경찰사무 50%·인력 7000~8000명), 2021년 전국 일부사무시행(자치경찰사무 70~80%·인력 3만~3만5000명) 이후 2022년 전체사무(자치경찰사무 100%·인력 4만3000명)로 확대한다.

/뉴시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