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수도권 `고공' vs 지방 `추락'
부동산, 수도권 `고공' vs 지방 `추락'
  • 안태희 기자
  • 승인 2018.11.08 19: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청지역 미분양 1만3915가구
지방 부동산 침체 장기화 조짐
첨부용.  수도권과 지방의 '집값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1일 오전 서울 송파구의 공인중개사 앞에 전세 및 월세 매물을 알리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한국은행이 지난 30일 발표한 ‘9월 지역경제보고서’에 따르면 3분기 수도권 주택매매가격 상승률은 월평균 기준 0.17%로 전분기(0.12%)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 2018.10.01. /뉴시스
첨부용. 수도권과 지방의 '집값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1일 오전 서울 송파구의 공인중개사 앞에 전세 및 월세 매물을 알리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한국은행이 지난 30일 발표한 ‘9월 지역경제보고서’에 따르면 3분기 수도권 주택매매가격 상승률은 월평균 기준 0.17%로 전분기(0.12%)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 2018.10.01. /뉴시스

 

수도권과 충청지역 등 지방의 부동산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충청지역을 비롯한 지방 부동산시장은 사실상 초토화된 상태다. 집값 하락은 물론, 미분양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상황에서 하반기 상당한 양의 분양 물량이 쏟아지면서 부동산시장의 양극화를 부채질하고 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 하반기 지방 분양 예정 물량은 14만6415가구로 상반기(7만9216가구)보다 2배가량 많다. 이미 공급 포화상태에서 하반기 분양 물량이 쏟아지고, 기존 미분양까지 떠안아야 하면서 부동산시장의 양극화가 더욱 극심해질 수도 있다는 우려감이 팽배해지고 있다.

대규모 미분양 사태가 예고되면서 건설사들은 중도금 무이자 혜택이나 계약금 축소, 무상 발코니 확장 등 다양한 당근책을 내놓고 있지만, 침체된 지방 부동산시장에서 좀처럼 먹혀들지 않고 있다.

분양업계 관계자는 “지방은 수요층이 서울과 수도권에 비해 적기 때문에 미분양 물량이 쌓이기 시작하면 나중에는 감당할 수 없어 장기 침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각 지방에 부동산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지역별 맞춤형 대책을 시행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특히 공급 물량 증가와 지역 경기 위축 등 악재가 겹치면서 집값은 갈수록 하락하고, 마땅한 수요조차 없는 상황이다. 오히려 고강도 부동산 대책으로 매물이 줄면서 지방 아파트 대신 강남 재건축 등 서울의 이른바 `똘똘한 한 채'에 주택 수요가 몰렸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596가구로, 우려 수준인 6만 가구를 4개월째 웃돌고 있다. 이 중 지방 미분양 물량이 5만2945가구로 전체의 대부분(87.3%)을 차지한다.

충청지역의 미분양 물량은 충남 9489가구 충북 4426가구 등 1만3915가구에 달한다. 경남(1만4847가구), 경북(8760가구), 강원(5112가구)과 함께 미분양사태가 우려할만한 수준이다.

일각에선 지방 집값이 단순히 오르고 떨어지는 문제가 아니라 거래조차 없는 침체 현상이 장기화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의 대책을 찾아보기 힘들다. 정부조차도 지방 부동산 시장의 미분양 문제에 대해 뚜렷한 해법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일부 미분양 위험도가 높은 지역에 대한 주택 공급 속도 조절에 나섰지만, 침체 현상을 막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게 부동산업계의 중론이다.

이에 지방 부동산시장의 침체를 막기 위한 보완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침체한 지방 부동산시장을 활성화 시키기 위해서는 맞춤형 전략과 지역 경제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지역 부동산 전문가들은 “지역경제가 위축되면서 지방 부동산시장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여기에 최근 몇년 사이 지방아파트 공급 과잉잉 누적된 것도 한 몫했다”고 진단했다.

이어 “미분양 지역에 기업을 유치하는 등 해소책을 적극 마련해야 한다”며 “부동산은 지역경제와 맞물려 있는 만큼 지역 경제 활성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안태희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