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그리고 축산정책
구제역, 그리고 축산정책
  • 김홍기 대한적십자사 괴산군 불정면 지회장
  • 승인 2018.10.29 20: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열린광장
김홍기 대한적십자사 괴산군 불정면 지회장
김홍기 대한적십자사 괴산군 불정면 지회장

 

사상 유례없는 여름 폭염이 채 가시기 전에 계절은 이미 가을을 넘기며 겨울 문턱에 와 있다. 온 산천에는 벌써 오색단풍이 물들면서 우리는 또다시 새로운 계절과 세월을 맞이하고 있다. 인간의 능력으로 가는 세월을 잡을 수 없다는게 삶의 본연으로 느껴진다. 즉 자연에 순응하며 살아야 일신이 편하다는 뜻과도 일맥상통(一脈相通) 한다.

계절이 계절인 만큼 겨울이 다가오면 축산인들은 자식처럼 키워온 가축들을 보호하기 위해 동분서주((東奔西走)하기 마련이다.

소를 전문적으로 사육하는 필자 입장에서 보면 일명 입발굽병으로 불리는 구제역이 가장 무섭다.

2010년 11월부터 2011년 3월 사이 전국을 강타한 구제역으로 인해 340여만 마리가 살처분 됐고 피해 규모도 3조원 가까이 달했다는 기록도 있다.

당시 전국적으로 수많은 농가들이 피눈물을 흘려야 했고 바이러스와의 전쟁을 벌이며 사투를 벌였던 기억이 지금도 생생하다.

구제역 발병은 2차적인 환경오염 문제까지 유발했고 자칫 매몰지에서 흘러나온 침출수가 지하수로 스며들 경우 사람까지 위협하는 무서운 질병이 됐다.

대부분 가축 사육농가들은 지금도 매년 겨울이면 가슴을 졸이며 구제역 예방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당국은 당국대로 구제역, 조류인플루엔자 예방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가축사육 농가도 스스로 질병 예방대책을 강화하면서 외출도 최대한 자제하는 실정이 됐다. 결국 가축 손실 피해를 줄이고 낭패를 없애는 것은 농가 스스로 질병을 예방하는 것뿐이다.

그 다음으로 중요한 건 정부가 축산정책을 보다 세밀하게 새판을 짜는 것이다.

기존의 낡은 관행은 과감하게 개선해야 한다. 한 가지를 예로 든다면 축산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건 축산분뇨 처리 문제다. 일본은 축산분뇨를 자원화 시스템으로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들의 정책은 축산분뇨를 직접 수거해 간 뒤 이를 자원화로 바꿔 다시 축산농가에 공급하면서 소득창출을 강화하고 지원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축산정책은 일본과 정반대다. 우리는 축산분뇨를 오·폐수 개념으로 보고 있다. 다만 밭작물이 소득원인 농가에서 토지에 사용하기 위해 축산분뇨를 이동하거나 보관하면 무관하게 넘어가는 실정이다.

반대로 가축을 전문(집단) 사육하는 축산농가에서 나오는 축산분뇨는 퇴비장에서 1개월 이상 부속(숙성)시킨 뒤에 퇴비로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축산농가는 매일 발생하는 분뇨량이 늘어나면서 보관 등에도 어려움을 겪는 실정이다.

정부가 이런 행태를 분석하고 지금부터라도 이에 따른 해결방안을 찾고 개선해야 할 때다.

괴산은 예로부터 오랜 전통과 역사를 지닌 청정지역으로 유명한 지역이다.

군은 유기농업군을 표방하며 청정 농특산물을 전국에 집중 홍보하며 농가소득 창출을 유도하고 있다. 이제부터라도 축산분뇨를 청정 농특산물 생산과 연계하는 퇴비(자원화)로 최대한 활용하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