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바이오헬스 일자리 4.2만개 창출…의료빅데이터 일부 개방
5년간 바이오헬스 일자리 4.2만개 창출…의료빅데이터 일부 개방
  • 뉴시스 기자
  • 승인 2018.09.11 14: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1828억원·내년 1881억원 등 예산 투입
보건의료 빅데이터, 공익적 연구 목적 활용



정부가 2022년까지 5년간 제약과 의료기기, 화장품 등 바이오헬스 분야 일자리 4만2000여개 창출을 목표로 신성장동력 산업 육성에 나선다.



우선 올해와 내년 2년간 3700억원 넘게 예산을 집중하고 공공기관 의료정보를 공익적 연구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하는 방안까지 추진하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가 11일 오전 7시30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제7차 일자리위원회 회의를 개최하고 이런 내용의 '바이오헬스 신(新)성장동력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 계획'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분야별로 제약·의료기기·화장품 3만5000명, 창업 지원 4000명, 미래신산업 육성 1000명, 글로벌진출 지원 2000명 등 4만2300개 일자리를 만들 계획이다.



올해 7700개를 시작으로 2019년 8020개, 2020년 8440개, 2021년 8860개, 2022년 9280개 등 창출이 목표다. 이를 위해 올해 1828억원이 들어간 데 이어 내년에는 2.8%(53억원) 증가한 1881억원을 투입한다.



복지부에 따르면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 일자리는 2013년 11만3000명에서 지난해 14만4000명으로 연평균 5.6%씩 증가해왔다. 금속가공 2.1%, 전자 -1.9% 등 제조업 전체적으로 0.8% 늘어난 것과 비교해 일자리가 지속해서 늘고 있다. 전체 기업의 98%가 중소·벤처 기업인 까닭에 동반성장 일자리 창출도 가능하다.



그러나 전체 정부 연구개발(R&D) 예산에서 보건의료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은 8.2%에 불과하다. 25%인 미국과 21%인 영국 등에 비하면 3분의 1 수준이다.



이에 복지부는 국민건강 증진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해 ▲제약·의료기기·화장품 산업 육성 ▲벤처창업 활성화 ▲전문인력 양성 ▲미래신산업 육성 및 해외시장 진출 지원 등을 추진한다.



제약·의료기기·화장품 산업 첨단화를 위한 R&D 투자와 함께 국내외 시장 경쟁력 제고에 나선다.



인공지능과 정보통신(IT) 기술을 활용해 후보물질 발굴, 임상시험 등 신약개발 과정을 혁신하고 융복합 의료기기 및 항노화 기술 등 화장품 신기술 개발 투자를 확대한다. 2020년부터 2029년까지 2조8000억원을 들여 '범부처 융복합 의료기기'를, 2024년까진 1000억원을 들여 화장품 신기술 개발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한다.



내년에는 R&D 인공지능 신약개발 75억원, 스마트 임상시험 기술 25억원, 마이크로의료로봇 실용화 기술 57억원 등이 투입된다.



국산 의료기기의 국내외 시장진출 지원을 위해 국내 대형병원 유망 의료기기 시범사용 사업에 내년에만 26억원을 지원하고 화장품 산업 수출국을 다변화한다.



바이오헬스 벤처창업 전주기 지원을 통해 2022년까지 창업기업을 매년 900개씩 확대한다. 기반 마련을 위해 올해 10월 300억원 규모로 보건사업 기술창업 펀드 투자를 시작하고 내년에는 1000억원 규모의 신약개발·글로벌 진출 지원 신규펀드를 조성한다.



연구설비·창업인프라를 갖춘 지역 바이오 클러스터와 지방거점병원 간 공동사업을 통해 지역단위 벤처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3개 지역에 24억원을 지원한다.



일자리 창출과 직접적으로 연계된 바이오의약품 현장전문 인력과 의과학자, 글로벌 인재 육성 사업은 1만명 양성이 목표다.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 내 실습교육장을 설치해 바이오의약품 생산현장에 즉시 투입 가능한 전문인력을 키운다.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및 의사(MD)-과학자(Ph.D) 공동연구 지원, 해외대학·기업·연구소 등 글로벌 연수 지원 등은 내년 신규 사업으로 채택됐다.



끝으로 바이오헬스 빅데이터 활용, 정밀의료·재생의료 등 미래 신기술을 육성을 통해 바이오헬스 산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한다.



건강보험공단·질병관리본부 등 보건의료 공공기관 간 빅데이터 연계를 위한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를 공익적 연구에 활용하는 방안도 내년에 24억원을 들여 마련하기로 했다. 공공기관 내부 정보를 이용할 구체적인 연구 등은 '보건의료 빅데이터 정책심의위원회'를 통해 결정한다.



2021년까지 유전체 분석에 기반한 맞춤형 암 치료법 등 정밀의료에 720억원을 투입하고 인체 세포를 활용한 재생의료 등 새로운 치료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에도 투자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