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산댐 유동적 관리가 먼저다
괴산댐 유동적 관리가 먼저다
  • 심영선 기자
  • 승인 2018.09.09 2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자수첩
심영선 부국장(괴산주재)
심영선 부국장(괴산주재)

 

지난해 7월 16일 쏟아진 폭우로 수해가 크게 발생한 괴산군 칠성면 괴산댐 관리 방안에 따른 논쟁이 뜨겁다.

당시 피해를 크게 입은 상류지역 주민들은 수해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한수원을 상대로 1년여 넘게 피해 보상을 요구하며 반발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현재까지 이들이 요구하는 보상도, 앞으로의 피해예방대책방안도, 어느 것 하나 확실하게 처리된 게 없다.

반면 이달 초에 쏟아진 집중호우로 괴산댐과 인접한 하류 지역주민들은 또 한 번 물난리를 겪으며 불안에 떨었다.

주민들은 지난해와 같은 상황이 재연되지 않을까 노심초사(心焦思)하며 발만 동동거렸다.

현재 댐 아래 지역은 지난해 입은 피해 복구 작업이 한창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주민들의 심기는 뒤틀려 있고 불만만 쌓여 있다.

이유는 하나다. 뒤늦게라도 복구작업은 진행되고 있지만 당장 근본적인 피해예방대책이 없기 때문이다.

불편한 심기로 가득 찬 하류 지역주민들은 댐을 철거하는 게 피해를 줄이는`정답'이라고 주장하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1957년 국내 순수 기술 1호로 준공한 괴산댐은 돈벌이 수단보다 상징성이 더 크기 때문에 보존할 가치도 그만큼 크다.

상황이 이렇다면 충북도와 군은 주민 피해를 줄이는 방안을 지금부터라도 더욱 강화해야 한다.

피해복구공사도 더욱 철저하게 진행돼야 한다.

업체가 복구공사 과정에서 나오는 폐콘크리트나 흙, 돌 등을 다시 강바닥으로 흘러들게 해서는 안 된다.

군은 업체의 피해복구과정을 더욱 철저하게 관리·감독해야 한다.

`눈 가리고 아옹하는 식'의 복구공사를 용납해선 안 된다. 인근 주민들이 이를 지켜보고 있다.

앞서 댐 관리권 이전 논의도 나왔다. 하지만 괴산댐 바닥과 댐 아래 강바닥에 쌓여 있는 퇴적물 량을 조사하는 게 먼저다.

그리고 퇴적물 량에 따라 준설작업을 고민하고 시행해야 한다.

그래야 수심이 더 깊어지고 댐에서 대량으로 쏟아지는 강물의 흐름이 보다 원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수원도 폭우로 인한 홍수에 유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댐 관리가 먼저라는 점을 인식해야 할 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