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통일신라 투조 `금동귀면' 출토
국내 최초 통일신라 투조 `금동귀면' 출토
  • 김금란 기자
  • 승인 2018.09.06 19: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주 황용사 절터서 … 추가 조사·정비 땐 불교문화 명소 기대
통일신라시대 금동귀면. /불교문화재연구소 제공
통일신라시대 금동귀면. /불교문화재연구소 제공

 

경북 경주 보문단지에서 감포 방면으로 넘어가는 동대봉산(옛 은점산) 절골의 황용사 절터에서 국내 최초로 통일신라시대 금동귀면이 출토됐다.

문화재청과 불교문화재연구소는 최근 걸이가 있는 투조 금동귀면을 비롯해 석불, 소조불, 용두편, 하대석 편 등 사찰의 격을 나타내는 유물이 다량으로 출토됐다고 밝혔다.

불교문화재연구소에 따르면 황용사는 계곡 주변에 크고 작은 석축 대지를 조성한 후 건물을 축조한 산지형 가람이다. 통일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 건물지 5동, 탑지, 축대, 석렬 등 다양한 유구가 중복돼 있다.

특히 현재 쌍탑이 남아있는 구역의 경우 고려시대와 관련된 유구와 유물이 확인되지 않아 고려시대에는 주변의 다른 곳으로 옮겨갔다가 조선시대에 다시 중창되는 등 변화가 많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불교문화재연구소는 문화재청과 함께 2013년부터 전국의 폐사지를 대상으로 `중요 폐사지 발굴조사 사업'을 진행 중이며 지난 7월 황용사터 시굴조사를 시작했다.

황용사는 경주시 구황동에 있는 황룡사지와는 구분되며 선덕여왕 2년(633년)에 창건된 것으로 `불국사고금역대기(佛國寺古今歷代記)'에 기록됐다. 당시 명칭은 황둔사(黃芚寺)라고 불렸으며 소성왕대에 황용사(黃龍寺)로 바뀐 후 중창, 중수 등의 과정을 통해 계속해서 사세를 유지해 왔다.

조사 전부터 황용사지는 통일신라시대 쌍탑을 비롯해 고려시대 승탑, 초석, 석축들이 흩어져 있는 곳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그동안 정비 및 보수가 진행되지 않았고 조사착수 당시에도 산죽, 수목 등이 유구와 뒤엉킨 채 일부는 붕괴가 진행되고 있었다.

이에 조사가 시급함을 인지하고 사역과 성격을 확인하고자 추정사역에 대한 폭넓은 시굴조사가 진행됐다.

불교문화재연구소는 이번 시굴조사를 시작으로 황용사에 대한 추가조사 및 정비가 이뤄진다면 경주지역의 또 다른 불교문화 명소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