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 답이 있다
현장에 답이 있다
  • 김금란 기자
  • 승인 2018.07.03 20: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데스크의 주장
김금란 부장(취재3팀)
김금란 부장(취재3팀)

 

`백문이불여일견'이라 했다.

실체를 파악하고 싶다면 백번 듣느니 눈으로 한번 보는 게 낫다.

국민과 지역민을 위한 정책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충북도내 민선 7기 자치단체장과 김병우 17대 교육감의 임기가 지난 1일 일제히 시작됐다. 다들 태풍 쁘라삐룬이 한반도에 북상하면서 예정된 취임식은 취소 또는 축소하고 민생현장으로 발을 옮겼다.

7월 첫날인 1일 김병우 충북교육감은 긴급 국·과장 회의를 주재한 데 이어 취임식이 예정됐던 2일엔 청주솔밭초와 내곡2초 공사현장을 찾았다. 이시종 충북도지사 역시 폭우 때마다 피해가 발생한 괴산댐을 방문해 수위를 점검하고 집중호우 대비 상황을 점검하는 것으로 임기를 시작했다. 이 지사 역시 청주예술의 전당에서 예정됐던 취임식 대신 참석 인원을 대폭 줄여 도청사에서 간단하게 취임식을 치렀다.

태풍이 아니었다면 종이비행기도 날리고 수십 명이 무대에서 공연을 펼치는 등 요란스런 취임식이 열렸을지도 모른다.

예년과 다른 자치단체장들의 행보가 태풍의 영향일 수도 있고, 보여주기식 쇼맨십으로 치부할 수도 있지만 유권자의 눈으로 보면 신선하기보다 당연한 모습이다.

행여 지난해 7월 충북지역을 휩쓴 최악의 폭우 당시 물난리 속 해외연수를 떠났다가 국민적 공분을 샀던 도의원들의 전철을 밟지 않으려는 속내도 있었을 것이다.

태풍 탓에 결과적으로 자치단체장들은 취임식 당일 집무실이 아닌 민생현장을 누볐다.

사실 자치단체장이나 교육감이 선거과정에서 내건 수백 건의 공약들은 책상머리에 앉아서 서류를 뒤척이는 것으로 파악할 수는 없다. 탁상공론이라는 비난을 면하려면 민생현장에서 답을 얻어야 한다.

현장을 찾지 않거나 현장의 소리에 귀 기울이지 못한다면 김병우 교육감이 선언한 행복교육도, 이시종 지사가 내건 `도민이 행복한 충청북도'도 이룰 수 없다.

새로 임기를 시작한 단체장들은 임기 4년 동안 거창한 일을 벌이거나 업적을 남기는 데 중점을 두기보다 한때 유행어로 회자됐던 사자성어`우문현답(우리의 문제는 현장에 답이 있다)'만 기억하면 된다.

학생과 학부모, 주민과 도민들 소리에 귀기울이고 현장을 들여다보면 문제도 보이고 답도 보인다. 그동안 현장의 소리에 귀 기울이지 않아 혼란을 가져온 사례는 수두룩하다.

교육부가 추진하고 있는 2022학년도 대입개편안은 물론 자사고·외고 이중지원 금지 등 고입정책에서도 갈피를 못 잡으면서 당장 영향을 받을 현재 중학교 3학년 학생들과 학부모들이 분통을 터트리고 있다.

대입개편안을 결정할 키를 쥔 국가교육회의는 공론화 위원회를 구성하면서 대입제도에 대한 현장성과 전문성을 반영할 인사를 한 명도 포함시키지 않았다. 현장을 꿰찬 전문가가 있어도 대안을 찾기가 어려운 데 비전문가들이 앉아서 무엇을 논할 것인가.

진보교육감이 대거 당선되면서 이들이 공약으로 내건 자율형 사립고, 외국어고 폐지 및 일반고와의 동시선발 정책 역시 교육현장의 혼란을 가져왔다.

최근 헌법재판소가 자사고 지원자들의 일반고 중복지원을 금지한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조항의 효력을 정지해달라며 가처분 신청을 한 전북지역 중학생과 학부모의 손을 들어주면서 교육당국의 자사고 일반고 전환에 제동이 걸린 일 역시 학교 현장을 간과한 결과다.

현장을 제대로 안다면 아님 말고식 정책은 나올 수 없다. 취임 첫날 현장을 누볐던 단체장들의 초심이 더도 말고 4년만 유지되길 바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