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기할 수 없는 권리
포기할 수 없는 권리
  • 임성재 칼럼니스트
  • 승인 2018.06.07 20: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말논단
임성재 칼럼니스트
임성재 칼럼니스트

 

6·13 전국동시지방선거일이 5일 앞으로 다가왔다. 투표일이 다가올수록 주변에선 누구를 찍어야할지 모르겠다며 투표를 포기하겠다는 사람이 늘고 있다. 이들이 투표에 흥미를 잃은 것은 정당지지도에서 더불어 민주당이 워낙 고공행진을 벌이다보니 하나마나한 투표라고 지레짐작하기 때문인 것 같다. 거기에다 지방선거에 대한 무관심이 한 몫을 보태고 있어 이번 지방선거의 투표율이 낮아지지 않을까 걱정이다.

선거에서 투표율이 높게 나타날 때는 유권자의 관심을 끌만한 뚜렷한 이슈가 등장할 때다. 정권을 심판할 일이 있다거나 정당들의 지지도가 첨예한 경쟁구도를 보인다거나 뚜렷하게 지지하는 후보가 있을 때 자신의 뜻을 관철시키기 위해, 지지하는 정당을 응원하기 위해 투표에 적극참여하게 된다.

그런데 이번 선거에는 유권자의 투표욕구를 자극할 만한 이유가 없어 보인다. 흔히 선거 때마다 들먹이는 정권심판론도 먹히질 않는다. 그도 그럴 것이 대통령의 지지도가 70%를 넘고, 여당인 더불어 민주당의 정당지지도는 야당들의 지지도를 다 합한 것보다 높은 50%를 웃돌고 있으니 선거를 통해서 무엇을 바꿔보거나 경종을 울릴 일이 없으니 말이다.

거기에 단체장 후보들은 그 인물이 그 인물이고, 기초의원 후보들은 누가누군지 알 수도 없으니 투표에 흥미를 잃을 만하다. 예전 같으면 당을 보고라도 찍는다고 했을 텐데 이번엔 정당지지도가 워낙 차이가 나다보니 한쪽은 내가 안 찍어도 당선은 따 논 당상이라고 생각하고, 다른 쪽은 내가 찍으나마나 안 될 것이라는 생각이 투표를 포기하게 만드는 것 같다.

그러나 지방선거 투표를 포기해서는 안 된다. 그것은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사회를 퇴보시키고 지역민의 행복할 권리를 스스로 포기하는 일이다. 지방선거는 말 그대로 지방자치를 실현하기 위한 제도로 민주주의의 꽃이라고 불린다. 우리 스스로 그 꽃을 꺾어서는 안 된다. 이젠 지방선거를 대하는 우리의 마음을 스스로 바꿔야 할 때다. 우리 스스로 지역의 주인으로 나서야 한다.

그러기위해서는 먼저 정당을 보고 투표하는 일은 멈춰야한다. 그동안의 지방선거의 결과를 보면 정당은 지역에 꼭 적합한 인물만을 공천하지는 않는다. 정당 나름의 판단기준은 있겠으나 지역주민의 의견이 무시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지방선거 공천과정에서 정당의 오만이 작동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 `그 인물이 그 인물이다'라는 푸념도 그만두어야 한다. 그것은 그동안 지역의 유권자들이 그들에게 투표했기 때문에 벌어진 일이다. 그를 믿고 표를 주었는데 실망스러웠다면 이제는 과감히 반대표를 던지고 지역을 위해 일할 다른 후보를 꼼꼼하게 찾아야 한다. 그것이 6월 13일 우리에게 주어진 권리인 것이다.

세 번째로 지방의원 후보자가 `누가누구인지 모르겠다며 투표할 의욕이 없다'는 등의 푸념도 멈춰야한다. 알려고 노력하지 않았으니 모르는 게 당연하다. 내가 후보자를 모르는 것은 나의 잘못이지 어찌 그들의 잘못이겠는가. 적어도 내가 사는 지역의 일꾼을 뽑는 일이라면 최소한 그들의 공약과 살아온 길을 살펴보는 노력은 해야 한다. 아무리 작은 기초단체라 하더라도 그들이 다루는 예산과 하는 일을 엄청나다. 이런 일을 무조건 정당에 의존하거나 학연이나 지연, 혈연에 의존하여 투표한다면 우리 스스로 지방자치와 민주주의를 포기하는 일이다.

지방선거 투표는 포기할 수 없는 우리의 권리이자 의무이다. 기왕에 행사하는 권리라면 지방자치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 그동안의 투표 관행을 바꾸는 선거가 되기를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