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뇌염 예방접종 지금이 `적기'
일본뇌염 예방접종 지금이 `적기'
  • 뉴시스
  • 승인 2018.05.07 18: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행시기보다 ‘최소 한달 전’ 이뤄져야 항체 형성
감염땐 후유증 심각 … 생후 12개월부터 접종 가능

 

일본뇌염의 주요 감염매개로 알려진 작은빨간집 모기가 평년보다 빨리 발견되면서 감염증 예방에 비상이 걸렸다.

8~11월에 주로 발생하는 일본뇌염은 나이와 무관하게 감염된다. 영유아의 경우 생후 12개월 이후부터 예방접종이 가능하므로 표준접종시기에 맞춰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권장된다. 예방접종이 늦어졌다면 본격적인 유행시기가 오기 전에 가능한 빨리 연령에 따라 권장되는 접종 차수를 완료하는 것이 좋다.

을지병원,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일본뇌염바이러스에 감염돼 발생하는 급성뇌염은 99%이상 무증상이거나 열을 동반하는 가벼운 증상을 보인다. 하지만 드물게 발열, 심한 두통, 구토, 경련 등의 증상을 보이며 급성뇌염으로 진행될 수 있다.

특히 후유장애로 의식변화 국소신경장애, 운동장애, 혼수상태, 뇌전증과 같은 위중한 신경학적 또는 급성 정신질환으로 나타날 수 있다.

뇌염의 20~30%는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을지대학교 을지병원 감염내과 이기덕 교수는 “일본뇌염 자체가 흔한 질환은 아니지만 한번 걸리면 치명적인 후유증을 남길 수 있는 만큼 면역이 약한 영·유아는 예방접종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을지대학교 을지병원 소아청소년과 은병욱 교수는 “생백신은 2년동안 2회 접종, 사백신은 12년 동안 5회 접종으로 완전접종이 이뤄진다”며 “첫 접종이후 백신 종류를 바꿀 수 없기 때문에 완전접종까지 횟수와 기간을 포함해서 꼼꼼히 따져보고 선택해야 한다”고 말한다.

문제는 항체가 줄어든 성인도 안전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일본뇌염 환자의 90%가 40세 이상이다.

1983년 예방접종사업에 일본뇌염이 포함되면서 당시 30세 이상부터 바이러스 감염을 막아내는 중화항체의 역가가 많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다시말해 어렸을때 예방접종을 받아 시간이 되면서 항체가 줄어 다시 감염될 수 있다는 것.

치료법은 대증적인 치료로 뇌압이 상승되면 뇌압을 떨어뜨려 주거나 경련이 발생할 경우 항경련제를 사용하면 된다.

후유장애의 경우는 발작 예방을 위해 항경련제를 사용하고 언어장애, 편마비 등은 꾸준한 재활치료가 필요하다.

그외 신경통이 있을때는 신경통 약물을 처방하고 뇌전증 진단을 위해서는 뇌파검사, CT, MRI를 통해서 뇌손상 여부를 파악하고 영구적 손상여부를 예측한다.

을지대학교 을지병원 신경과 이정주 교수는 “만약 뇌염증상을 보여 회복된다고 하더라도 드물게 후유장애가 남아 언어장애, 지능저하, 반신위약 등을 보일 수 있고 심한 경우에는 식물인간 상태로 지낼 수도 있다”며 “현재로서는 질병에 대한 특별한 약물이 개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접종만이 최선의 예방책“이라고 조언했다.



/뉴시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