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장화
초록장화
  • 이재정<수필가>
  • 승인 2017.10.10 20: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타임즈 포럼
▲ 이재정<수필가>

처음 신어본 장화다. 쉰 되도록 이 신발을 신어보리라고는 생각도 못한 일이다. 형님댁에 복숭아를 가지러 갔다가 일어난 참사였다. 큰댁은 논에 지은 농가주택으로 농로를 따라 들어간다. 차를 세우고 들어가 복숭아를 가지고 나오면서 벌어진 사태였다. 상자를 들고 있으니 발아래는 쳐다볼 수 없고 앞만 보고 걸었다. 어찌 도사리고 있는 위험을 짐작이나 했겠는가. 순간에 벌어진 일이었다. 걷고 있는 내 발을 밑에서 잡아당기기라도 하듯이 수로 위의 스틸그레이팅(덮개)에 왼쪽다리가 빠지면서 앞으로 고꾸라졌다.

무릎까지의 깊이로 내 발 크기만큼의 구멍이다. 일부러 집어넣어도 쉽지 않았을 공간이었다. 어이가 없어서 쓴웃음이 나왔다. 행여 누가 볼세라 얼른 다리를 꺼냈다. 복숭아 덕에 얼굴은 멀쩡했다. 무릎은 까여 피가 나고 발가락은 아파서 걸을 수가 없었다. 병원을 무서워하는 나는 파스로 견뎌보려 했다. 시간이 갈수록 점점 붓고 멍이 새파랗게 올라왔다. 그이에게 미련곰탱이라는 말까지 들으면서 버티다가 병원에 갔다. 발가락이 두 개나 부러졌다는 것이다.

의사는 부은 발에 장화를 신겨 주었다. 겉보기에는 예쁜 초록색을 한 반장화였다. 보기와는 딴판으로 내 발을 꼼짝 못하게 하는 족쇄였다. 제대로 걷지도 못하게 하고 발을 조여와 발바닥이 욱신욱신 아팠다. 비가 오는 날이나 씻을 때면 비닐봉지로 무장해야 했다. 발에 물이 들어갈까 봐 단단히 동여매야 하기에 여간 성가신 게 아니다. 장화를 신고 보내는 하루가 피곤하고 고됐다. 사무실에서 종일 동동거리다 이어 집안일을 끝내고 나면 눈물이 날 지경이다. 하루에도 몇 번씩 벗어던지고 싶었다. 벗겨지지도 벗을 수도 없는 이 장화는 나의 인내를 시험하고 있었다.

며칠을 부러진 발가락에만 온통 신경이 가 있었다. 발의 통증이 가라앉고 진정이 되어서야 무릎이 욱신거리는 걸 알았다. 들여다보니 바짝 성이 나 있다. 쓰리고 아팠을 텐데 더 아픈 발에 가려 이제야 느껴지는 상처였다. 무심했던 게 미안해서 한참을 연고도 바르고 밴드도 붙여 주었다.

드디어 장화를 풀었다. 너무 이르다는 의사의 말을 뒤로하고 억지를 부렸다. 지긋지긋한 장화가 벗겨지고 날아갈 것만 같은 기분도 잠시, 여전히 절룩거리는 걸음걸이를 하고 있다. 뛰어다닐 거라고 생각했던 건 내 오산이었다.

장화를 신었던 한 달 동안은 고문이었다. 그까짓 복숭아는 왜 갔다 먹으라고 해서 나를 힘들게 하나 하는 괜한 원망도 생겼다. 아들이 군대에서 제대할 날을 손꼽아 센 심정을 알 것 같다. 그 시간을 견디고 온 아들이 성숙해졌듯이 깁스를 했던 나의 한 달이 그랬다.

더 아픈 발에 가려 외면을 당한 무릎의 상처처럼 드러나는 명예와 돈 같은 눈에 보이는 것만을 쫓은 나. 작은 것, 보이지 않는 것들. 소소한 일상들이 행복이었음을 몰랐다. 그저 단번에 얻어지는 일확천금 같은 것인 줄 알고 살았나 보다.

동화작가 페로의 “장화신은 고양이”는 장화를 신으면서 주인을 위해 꾀를 내는 지혜가 생겼다. 나의 초록장화는 졸고 있던 겸손을 깨운다. 자그마한 것들을 무심코 지나치지 말고 살라는 엄한 법문이요. 아래를 내려다보라는 따끔한 불침, 연비(燃譬)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