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절벽시대 … 지방대학 몰락 위기
인구절벽시대 … 지방대학 몰락 위기
  • 김금란 기자
  • 승인 2017.09.06 19: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출산율 저하 탓 2019년부터 입학정원 미달사태

신입생 감소 엎친데 교육부 구조개혁평가 덮쳐

몰락땐 소득 창출 등 악영향 … 지역경제 황폐화
▲ 첨부용. 출생아 수가 다섯달 연속 10%이상 줄었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인구동향'에 따르면 4월 출생아 수는 3만4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3.6%(4800명) 감소했다. 이번 수치는 통계청이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4월 기준으로 역대 최저치다. 4월 혼인 건수 또한 2만100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11.8%(2700건) 줄었다. 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 중구에 위치한 산부인과 전문 제일병원 신생아실의 모습이다. /사진=뉴시스

출산율 저하에 따른 인구절벽 시대에 접어들면서 지방대학들은 입학자원 감소와 주민 고령화, 교육부의 대학구조개혁평가 등 삼중고에 밀려 몰락 위기에 놓였다.

지방대학이 몰락할 경우 지역경제는 물론 고급인력의 외부 유출, 고용 창출(노동시장), 지역의 소득 창출, 주택시장, 교통 등 지역 전반에 악영향을 미쳐 지역의 황폐화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교육부 자료에 따르면 출산율 저하로 2019년부터 대학 입학정원보다 고졸자수가 적어지는 역전현상이 전개된다.

입학자원이 급감하는 인구절벽(2020~2021학년도·생산가능인구 비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에 직면하는 2020학년도엔 입학자원이 올해 입학자원 52만734명보다 4만9922명(9.6%)이 줄어든 47만812명으로 급감한다.

이듬해인 2021학년도엔 전년대비 9.2%(4만3246명)감소해 입학자원은 고작 42만7566명에 불과하다.

입학자원이 39만명대로 진입하는 2023년엔 입학자원의 부족사태로 인해 전국적으로 정원미달사태가 속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입학감소의 직격탄을 맞는 곳은 다름 아닌 지방대학이다.

입학자원들이 서울과 수도권을 선호하면서 지역을 기피하고 지역의 고령화로 인구소멸 위기에 처하면서 남아있는 자원 자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이 발표한 저출산·고령화에 의한 소멸지역 분석에 따르면 충북의 11개 시·군 가운데 인구변화가 안정적인 지역은 청주시와 증평군 2곳뿐이다.

진천·음성군은 인구감소 검토지역, 충주시와 제천시는 인구감소 신중 검토지역으로 분류됐다. 특히 옥천·보은·단양·영동·괴산군 5곳은 인구감소 위험지역으로 나타났다. 충북의 45.5%에 해당하는 지역이 인구감소로 인한 소멸 우려가 큰 것으로 분석됐다.

교육부는 정원 감축을 위해 대학구조개혁평가를 추진했고 지방대학의 83%가 정원감축 대상이었다.

유은혜 국회의원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제출 받은 `1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2014~2016) 4년제 대학 정원감축 현황' 자료를 보면 충북은 10개 대학 가운데 8개 대학에서 정원이 감축돼 2013년 1만7089명에서 지난해 1만6068명으로 입학정원이 6.0%(1021명) 줄었다. 1개 대학에서 평균 102명이 감축됐다.

충청대는 지난 2008년 모집정원이 2300명을 넘었지만 2018학년도 모집정원은 1611명에 불과하다.

제천 세명대는 한때 2382명이 입학했지만 올해는 1993명으로, 극동대는 1100명에서 1005명, 충북도립대는 551명 정원을 모집했던 시절도 있었지만 올해는 460명으로 감소했다.

입학자원과 정원감축, 지역인구 소멸 위기로 대학이 사라진다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는 상당하다.

대학은 지역에 존립하는 것만으로도 지역경제의 중심축 역할을 한다.

교수와 직원 수백명이 근무하면서 창출하는 일자리부터 지역학생이 외지 진학 시 지출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수천명의 학생과 교직원이 지출하는 비용, 거주에 따른 주택시장, 고급인력을 통한 연구개발, 기업유치 등이 있다.

유원대학교와 세명대가 캠퍼스 일부를 이전을 추진하면서 지역주민들이 반대한 이유도 주민의 생계와 연관돼 있기 때문이다.

청주 시민 김 모씨는 “대학이 없어지면 수천명의 교직원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움직이던 지역경제가 멈추는 것과 같다”며 “지역대학의 몰락은 대학만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주민의 삶까지 몰락시키는 것이다”고 말했다.

/김금란기자
silk8015@cctimes.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