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극복 사회적 경제에서 찾자
재난극복 사회적 경제에서 찾자
  • 안태희 기자
  • 승인 2017.07.26 2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데스크의 주장
▲ 안태희 취재2팀장(부국장)

요즘처럼 청주가 주목을 받는 경우도 매우 드물 것이다. 평소 별다른 자연재난이나 사건사고가 드물었으니 자연스럽게 주목도가 떨어졌다.

어제 한 경제단체 관계자를 만났는데 그의 말이 재밌었다. 한 수출업체 관계자가 외국에서 바이어를 만났는데 그 바이어가 청주의 물난리 소식을 알고 있더라는 것이다.

경위가 어떤지는 알 수 없지만 그 정도로 청주의 물난리는 큰 이슈가 됐다.

대통령 부인도 자원봉사를 하고 전국에서 물밀 듯이 봉사활동을 오고 있다. 비닐하우스에서 봉사활동을 하다가 쓰러진 농협 직원도 있다고 하니 미안하기도 하고 고맙기도 하다.

그러나 이번 재난에서 `하이라이트'(?)는 김학철 도의원의 `레밍발언'이다.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이번 물난리로 피해가 극심한 상태에서 김 의원의 발언으로 지역경제에 더 큰 피해가 오지 않을까 하는 점이다.

도의원들이 사전에 심사숙고했다면 불과 1000만원의 위약금만 물면 끝날 일이었는데 `레밍 발언'이 터져 수백억원 상당의 지적자산 손실로 이어지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 충북도나 청주시 등이 많은 예산을 들여가면서 서울 등지에서 광고를 해왔는데 말이다.

요즘 각 시·도는 이미지와 스토리텔링으로 먹고 산다. 뭔가 색다른 이미지, 무엇인가 끌리는 스토리텔링이 있어야만 관광객이 오는 것이지 자연풍광만 좋다고 해서 오는 시절은 지났다.

수해복구가 다 끝났으니 충북으로 오라고 말할 때가 머지않았다. 아직 피서철이 상당기간 남아있으니 그 기간만이라도 관광객이 올 수 있도록 도민 모두가 홍보요원이 되어야 할 판이다.

다만 이번 재난에서 우리는 지역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궁극적인 대안이 무엇일까를 생각해봐야 한다. 이런 대안 중 하나가 사회적 경제라고 할 수 있다.

이번 수해에서 주목할만한 것은 경제적 피해가 직접적인 피해액의 2.34배가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경제적 피해는 주로 소상공인이나 사회적 약자에게 전가될 가능성이 높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부터라도 사회적 경제체제를 보완해 지역사회의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일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사회적 기업은 세계적인 경기침체와 저성장 시대의 장기화 속에서 각 국가마다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동력으로 부각되기 시작한 경제모델이다. 요즘은 사회적 기업을 재난복구지원정책 차원에서 접근하자는 연구도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마을기업, 협동조합 등 사회적기업들은 사회적인 문제해결과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경제주체가 되겠다는 취지가 많고 취약계층에 대한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해주는 측면이 있다.

그렇지만 아직까지 지역에서는 사회적 기업이 활착한 상태가 되지 못했으니 이번 기회에 사회적 경제체제를 튼튼히 할 수 있는 거름을 주어야 한다.

전통시장과 새마을금고 등 지역금융, 강소기업과 중소기업들이 서로 받쳐주는 선순환 경제체제를 구축해야만 앞으로 자주 닥칠 재난에서 다소나마 피해를 줄이고 지역경제를 회생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