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이상한 감각인 간지럼
참 이상한 감각인 간지럼
  • 김민주<세종과학예술 영재학교 교사>
  • 승인 2017.03.08 19: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선생님이 들려주는 과학이야기
▲ 김민주

퇴근하여 집에 들어가면 아들은 침대의 이불 속으로 숨어서 아빠를 기다린다. 그럼 몇 번 아들을 찾기 위해 이름을 부르다 침대의 이불 속으로 함께 들어가 옆구리를 간질이면 아들은 행복한 웃음을 보여준다. 이 웃음은 참으로 행복한 소리를 낸다.

6살 개구쟁이 아들과 놀다 보면 장난으로 서로의 몸을 간질이며 웃는 일이 많다. 한참 서로의 몸을 간질이다 보면 웃음에 숨을 쉴 수 없어 호흡이 거칠어짐을 느끼고 몸을 비틀며 고통스러울 때가 있다. 입에선 웃음이 나오고 있는데 몸은 고통스럽다. 갑자기 내 몸이 낯설어지며 이럴 수 있는 일인가? 궁금해져서 간지러움에 대하여 조사해보았다.

피부에는 여러 감각이 숨겨져 있다. 촉각, 온각, 냉각, 통각이 있으며, 각 감각은 인간의 생활에 매우 큰 역할을 한다. 촉각을 통해 여러 물건을 느낄 수 있으며, 온각을 통해 따뜻함. 냉각을 통해 차가움, 통각을 통해 아픔을 느끼며 위험에 대비한다. 하지만 간지러움은 어디서 오는 것이며 간지럼이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는 무엇일까?

재미있게도 아직 이 물음에 명확한 대답을 준 사람은 없다. 21세기를 살고 있는 인간이 간지러움의 원인과 그것이 있는 원인을 모른다는 것이 신기했다.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학설에서는 간지럼을 두 종류로 구분한다. 벌레가 기어갈 때 나는 간지러움과 웃음이 나는 간지러움이다. 벌레가 기어갈 때 나는 간지러움을 왜 느끼는지는 쉽게 설명이 가능하다. 몸에 해로움을 주는 것을 일차적으로 막을 수 있는 정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간지러움을 느끼는 것이 인간의 삶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간지럽힘에 의한 웃음이 나는 간지럼은 어떠한 이유에서 인간에게 존재하는 것일까?

김성호 이화여대 심리학과 교수는 인간이 진화에 따라 가까운 사이에 간지럼을 태우며 유대감을 형성하는 동시에, 약한 부분을 방어할 수 있도록 학습을 시키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과학적으로 증명되진 않았다. 이 두 간지러움이 나타났을 때 인간의 반응도 다르다. 벌레가 기어갈 때 느끼는 간지러움은 손으로 긁는 행동이 나타나지만, 웃음이 나는 간지러움은 긁지 않고 온몸을 움츠리게 만들며 시간이 지날수록 고통스럽지만 웃음은 멈추지 않는다. 우리에게 이 감각이 있는 이유가 있을까? 진화의 산물이 정말 맞는지, 맞으면 이 감각은 왜 유지가 되는지 신기할 따름이다.

또 재미있는 사실은 웃음이 나는 간지러움은 내가 하면 느끼지 못하지만 남이 하면 웃음이 나는 간지러움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예측을 할 수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로 밝혀졌다. 내가 만드는 간지러움은 뇌가 예측이 가능해 간지러움을 느낄 수 없지만, 남이 하는 간지러움은 예측을 할 수 없기에 간지러움을 느낀다. 간지러움은 대상이 나와의 친밀함 정도에 따라 웃음이 나타날 수 있고, 짜증이 될 수도, 공포가 될 수도 있다. 그래서 간지럼을 `정서적 감각'이라고도 부른다.

간지럼 참으로 이상한 감각이지만, 아빠의 장난에 삐친 아이를 풀어줄 아주 강력한 무기임에 틀림이 없는 것 같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