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연, 2월과 3월 사이
인연, 2월과 3월 사이
  • 정규호<문화기획자·칼럼리스트>
  • 승인 2017.02.21 18: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요단상
▲ 정규호

국민가수 이선희가 이런 말을 했다.

“요즈음이 가장 힘들고 애매한 시절인 것 같아요. 2월과 3월을 지내는 동안의 애매함이 가끔은 사람들을 당황하게 하죠. `입춘과 우수도 지났으니 이제 봄이 다가오고 있구나'하는 희망으로 거리를 나설 때, 아직 기세등등하게 남아 있는 칼바람이 몸과 마음을 움츠리게 하는 2월. 여전히 힘든 2월을 간신히 넘기고 이젠 완연한 봄이 로구나 라는 기쁨으로 겨우내 몸을 숨겼던 집을 벗어나 들판으로 나섰을 때, 시샘하듯 불어오는 여태 날카로운 날을 거두지 못하는 겨울의 미련으로 봄 감기에 걸리기 쉬운 3월은 따스하나 아직 봄을 만끽하기에는 어림없다고 느낄 때가 많죠.”

콘서트를 위해 청주를 찾은 그녀는 차분하고 진지했다.

2월이 누구처럼 쉽게 물러나지 않겠다고 앙탈을 부리고 있다. 여전히 겨울임을 잊지 못하게 하는 계절의 막바지에서 우리는 춥거나 움츠리거나, 들숨과 날숨을 작게 하고 몸을 덜 움직이게 되는 탄식을 여전히 곱씹고 있다.

그리고 촛불과 깃발이 무시로 충돌하는 분노는 점점 더 깊어지고 있고, 봄은 사람들의 상처처럼 망설이고 있다.

봄이 유난히 더디게 온다.

철모르는 천둥 번개가 세상을 놀라게 하고, 추위는 며칠 간격으로 맹렬하게 밀고 당기기를 거듭하고 있다.

그래도 봄은 기어이 올 수밖에 없는 것.

그런 봄은 맨 먼저 물소리로 온다. 봄이 그리울 땐 물가로 나가 보라. 겨우 내 얼음 속에 갇혀 있던 시냇물이 몸을 푸는 소리는 사뭇 우렁차다. 물소리라면 당연히 강둑을 터트릴 듯 쏟아 붓는 장마철이 거세지만, 그건 아무래도 꾸며 낸 울음처럼 작위적이다. 가을이 되면 다시 차분해졌다가 마침내 몸짓과 소리를 멈추는 겨울을 지나 용틀임하는 언 강 풀리는 소리는 생명의 박동과 같다.

들판을 돌아보면 부풀어 오르는 흙들의 심장. 봄은 또 그렇게 응고와 수축, 그리고 부피와 질량의 견고함을 풀어 헤치면서 끝내는 발아를 준비하고, 부지런한 사람들의 손길을 기다린다.

벌써 올 2월의 마지막 <수요단상>이 되겠다. 누구에게는 극단의 한 주가 되고, 또 누구에게는 고뇌의 한 주가 흐르면 3월을 맞이할 길을 재촉할 것이다. 3월이 오면 결국 사람들은 마음마다 지난 가을부터 움츠릴 수도, 꺼트릴 수도 없는 촛불의 간절함을 훌훌 떨어버리고 새 봄이 열리기를 더욱 학수고대할 것이다.

가지 않으려, 지키려 앙탈을 부리는 겨울의 잔재를 말끔하게 걷어내는 2월이 지나고 기어이 찾아올 봄, 그 3월에 꽃샘추위가 심술을 부린다 해도 우리는 이미 알고 있다. 결국엔 다 잘 될 것이고, 또 잘 돼야 한다는 것을. 그런 운명적인 인연이 마침내 우리를 새롭고 벅찬 환희의 세상을 만들 수 있음을 우리는 도저히 믿지 않을 수 없다.

「당신이 얼마나 괴로운지, 얼마나 외로운지,/ 미칠 것 같은지, 미쳐지지 않는지./ 나에게 토로하지 말라 (중략) 인생의 어깃장에 대해/ 치사함에 대해 웃겼고, 웃기고,/ 웃길 몰골에 대해/ 차라리 강에 가서 말하라./ 당신이 직접 강에 가서 말하라/ 강가에서는 우리 눈도 마주치지 말자.」<황인숙. 강> 물소리 뜨거운 강에서 홀로 노래를 부른다.

「약속해요 이 순간이 다 지나고/ 다시 보게 되는 그날/ 모든 걸 버리고 그대 곁에 서서/ 남은 길을 가리란 걸 (중략) 운명이라고 하죠/ 거부할 수가 없죠/ 내 생에 이처럼 아름다운 날/ 또 다시 올 수 있을까요// 하고픈 말 많지만 당신은 아실테죠/ 먼 길 돌아 만나게 되는 날 다신 놓지 말아요/ 이 생에 못다 한 사랑/ 이 생에 못다 한 인연/ 먼 길 돌아 다시 만나는 날 나를 놓지 말아요」<이선희 노래. 인연> 문득 눈물 나는 2월과 3월의 고단함. 끝내 봄은 우리에게 오리니.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