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대학교 박물관 폐관 결정 신중해야
충청대학교 박물관 폐관 결정 신중해야
  • 연지민 기자
  • 승인 2017.01.22 20: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청논단
▲ 연지민 취재 3팀장(부장)

충청대학교 박물관이 폐관될 위기에 처했다.

충청대는 오는 2월 이사회에서 교내 박물관 폐관 여부를 결정한다는 소식이다.

내부적으로 폐관 수순을 밟아온 대학 측은 이사회 승인을 마지막으로 남겨두고 있다. 30년이 넘은 박물관의 역사가 이날의 결정에 따라 사라질 수도 있다.

대학의 마지막 결정을 지켜봐야겠지만 충청대 박물관의 폐관 소식은 여러 가지로 지역문화계에 충격을 안겨주었다.

특히 충북지역 발굴조사의 보고인 박물관이 폐관될 경우 충북 역사의 흔적도 빛을 보기 어렵다는 견해다.

이런 문화적 연결고리 속에서 단순히 박물관 폐관 문제를 뛰어넘어 역사성이나 소장 유물의 가치 외에도 대학의 공공성과 역할론까지도 점검해야 한다는 여론이다.

충청대학박물관은 지난 1985년 9월에 개관했다. 문화유산을 수집, 정리, 연구해 문화재 보호와 발굴하는 것을 목표로 전국의 20여 곳 절터를 중심으로 지표조사와 발굴조사를 해온 학술연구 업적은 충청대학박물관의 자랑이다. 그중에서도 충주와 제천지역에서 진행된 학술 발굴조사는 충북 역사의 현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30년간 진행된 충북지역의 발굴조사 자료와 유물, 탁본과 사진자료들은 뛰어난 충북 지역의 조사 자료라는 가치를 지니고 있다.

소장 유물도 발굴유물과 기증유물을 포함해 총 5000여점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

실제 박물관 전시장은 선사시대와 역사시대 유물을 전시하고 있는 역사실과 근·현대 민속 유품을 전시한 민속실, 북한의 서화를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서화실과 동물의 박제와 옹기를 볼 수 있는 자연사실이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발굴의 현장을 고스란히 옮겨온 듯한 수장고가 있다. 신문지에 싸여 있는 유물들은 출토지로 분류해 보관되어 있어 발굴조사의 노하우를 느낄 수 있다.

이처럼 역사와 유물의 가치가 충분함에도 박물관 폐관을 추진하면서 대학의 공공성과 역할론도 도마 위에 올랐다. 돈 안 되는 문화기반시설에 대한 인식과 취업 우선의 대학 세태가 그대로 반영된 결정이라는 지적이다. 돈이 될 땐 학과를 늘리고, 돈이 안 될 땐 폐과로 전환하는 방식의 허약한 대학 체질이 공공성마저 위배하고, 취업기관으로 전락해버린 대학이 경제개념을 앞세워 감축하고 없애는 것으로만 일관하고 있다는 것이다.

대학은 지식을 습득하고 진리를 탐구하는 곳이며, 사회문제에 책임감을 갖고 실천할 수 있는 시민을 길러내는 교육기관이란 점을 다시 한번 상기할 필요가 있다.

박물관 폐관 절차 소식이 알려지자 지역 여론도 따갑다. 교육기관으로서의 기능도 있지만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공익의 개념을 수립하는 것도 대학의 역할인 만큼 폐관 조치는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충청대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유물은 지역의 소중한 역사적 자료이다. 관련학과가 없다는 이유로 박물관을 폐관한다는 것은 대학이 가진 사회적 공공성과 책무를 망각한 것으로밖에 볼 수 없다”는 지역문화계의 쓴소리에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책도 필요하다. 대학에만 책임을 전가할 것이 아니라 충북도와 청주시가 적극적인 대응책을 세워야 한다. 실제 충북은 문체부의 2016년 문화기반시설 총람에 따르면 박물관 시설은 45개로 최하위권이다. 이는 도세가 비슷한 강원이 96개, 제주가 60개와 비교해도 현저히 적은 숫자다. 기반시설이 적다는 것은 문화도시로의 역량이 낮다는 의미다. 30년 충북의 역사를 저버리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