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익연리(比翼漣理)
비익연리(比翼漣理)
  • 반영호<시인>
  • 승인 2016.12.08 19: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요칼럼-시간의 문앞에서
▲ 반영호

금실 좋은 부부를 일컬어 잉꼬에 비유되지만 이에 못지않게 부부간의 사랑을 비유하는 말에 `비익연리(比翼連理)'라는 말이 있다. 비익조(比翼鳥)라는 새와 연리지(連理枝)라는 나무를 합친 말이다.

이 말은 당나라 때 시인 백낙천(白天)이 지은 <장한가(長恨歌)>에 나온다. 서로 사랑하는 남녀가 영원히 헤어지지 않기를 바라는 소망이 담겨 있다.

비익조(比翼鳥)에서 비(比)는 비견(比肩)·즐비(櫛比) 등의 말에서 보듯 나란하다는 뜻이다. 익(翼)은 날개이다. 비익조(比翼鳥)는 전설 속의 새이다. 이 새는 눈도 하나요, 날개도 하나뿐이다. 그래서 암수 한 쌍이 한데 합쳐야만 양옆을 제대로 볼 수 있고 날 수도 있다. 또 연리지(連理枝)의 리(理)는 `결'이라는 뜻이다. 연리지란 그러니까 나뭇결이 연결된 가지를 말한다. 뿌리가 서로 다른 나무가 허공에서 만나 한 가지로 합쳐진 나무이다.

부부는 비록 다른 집안 다른 환경에서 나고 자랐지만 결혼을 해서 한 가정을 이루게 되면 연리지(連理枝)처럼 한 몸을 이루어, 비익조(比翼鳥)와 같이 서로 부족한 점을 채워 준다.

하늘에선 원컨대 비익조가 되고요. 땅에서는 연리지가 되길 바라요.

在天願作比翼鳥(재천원작비익조) 在地願爲連理枝(재지원위연리지)

백낙천의 장한가(長恨歌)다.

비목어(比目魚)는 정말 눈이 하나뿐일까?

머리 한쪽으로 눈 두 개가 몰려 있는 가자미. 비익조(比翼鳥)와 비슷한 의미로 비목어(比目魚)란 물고기가 있다.

글자대로 풀이하면 `눈이 나란한 고기'가 된다. 류시화는<외눈박이 물고기의 사랑>이란 시에서 이 물고기를 소재로 “두눈박이 물고기처럼 세상을 살기 위해 / 평생을 두 마리가 함께 붙어 다녔다는 / 외눈박이 물고기 비목(比目)처럼 사랑하고 싶다.”고 노래하였다. 아마도 비익조(比翼鳥)에서 유추하여 비목어 또한 눈이 하나밖에 없으므로 암수가 서로 나란히 붙어야만 헤엄칠 수 있다고 생각한 듯하다.

비목어(比目魚)는 머리 한쪽으로 눈 두 개가 몰려 있는 납작한 몸의 가자미나 넙치, 광어와 같은 물고기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 물고기들은 눈이 한쪽으로 몰려 있기 때문에 반대편을 잘 볼 수가 없다. 그래서 서로 반대편에 눈이 달린 물고기가 붙어다니며 서로 못 보는 부분을 도와준다고 해서 부부의 금슬을 나타내는 말로 쓰게 되었다.

불새. 피닉스(phoenix)는 불새로 우리나라 말로는 불사조(不死鳥)다. 희랍어 포노닉구스에서 온 말인데 문자 그대로의 뜻은 자홍(빨간색)이다. 애굽 신화에 나오는 새로서 붉고 금빛의 날개를 가진 이 새는 아라비아 황야에서 살았다고 한다. 한번 태어나면 오백년을 산다. 깨끗하게 살다가 500년이 지나면 이 새는 거룩하게 죽는다. 직접 약초와 향내가 나는 나무를 쌓아두고 날개로 불을 일으켜 그 위에서 자신을 태운다. 그리고 그 재 속에서 다시 젊고 신선한 몸으로 재생하는 것이다. 그래서 또 오백년을 살다가 죽고 또 그렇게 해서 살고…, 아름답고 갸륵한 불사조의 전설이다.

죽지 않고 영원히 살고 싶은 것은 인간의 본능이다. 이런 영생의 본능뿐 아니라 인간에게는 식욕, 소유욕, 성욕, 명예욕 등도 본능으로 주었다. 또한 동물에게는 `귀소본능', 즉 태어났던 곳으로 돌아가는 본능도 주었다.

인터넷에서 내 닉네임이 피닉스다. 불사조의 전설처럼 오래 살겠다는 욕심에서 비롯된 생각은 아니다. 진시황이 육신으로 오래 살고자 하였다면 나는 정신적으로 오래도록 남고 싶음이었다. 불후의 명작을 남겨 후대에 오래도록 기억에 남기고 싶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