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의 `역주행'
대기업의 `역주행'
  • 안태희 기자
  • 승인 2016.10.12 20: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데스크의 주장
▲ 안태희 취재2팀장(부국장)

삼성전자가 결국 스마트폰 `갤럭시 노트7'을 단종조치했다. 배터리 발화로 국내외에서 리콜했다가 또다시 문제점이 발생하자 기종 자체의 생산을 중단한 것이다.

갤럭시 노트7사태는 삼성전자에 막대한 손실을 가져다 줄 뿐만 아니라 대기업에 대한 국민적인 불신과 의혹의 시선을 다시 불붙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비교적 빠른 시일 내에 리콜과 단종을 결정한 결단력은 인정할 수는 있겠지만 초일류 기업을 지향하는 대기업 삼성의 민낯이 한꺼번에 드러났기 때문이다.

더구나 홍채인식 기능 등을 내세우며 제품 차별화를 홍보했지만 배터리에 불이 붙는 어이없는 기술력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대기업발 품질경영'에 의구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새누리당 이혜훈 국회의원이 12일 삼성전자에 대해 “그동안 삼성이 가지고 있던 여러 가지 부실이 해결되지 않고 계속 누적돼 오다가 드디어 임계점에 이르러서 폭발한 것”이라고 지적한 대목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이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문제가 어디서 생겼는지조차 지금 삼성이 제대로 짚어내지 못하는 것 같다. 이건 삼성 내부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녹색기업에 선정된 대기업들이 오히려 환경오염의 `주범'이었다는 사실도 충격적이다.

국민의당 김삼화 국회의원에 따르면 친환경 기업으로 인정되는 `녹색기업' 가운데 현대자동차 등의 대기업들이 오히려 환경법규를 위반해왔던 것으로 드러났다.

현대자동차는 지난 5년간 8건이나 적발됐으며 기아차도 6건이었다. 국내 1위의 자동차그룹이자 친환경 전기차를 생산한다는 현대자동차가 이렇게 환경법규를 위반했다는 것은 고양이에게 생선을 준 꼴이다.

녹색기업으로 지정되면 3년간 대기·수질부터 소음·진동, 폐기물, 화학물질까지 모든 정기점검을 면제받는데 이 혜택을 교묘히 악용했다고밖에 볼 수 없다.

대기업이 어떤 역사를 지녔든 우리나라 경제를 떠받치는 중요한 주체임을 부인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실체도 불분명한 재단에 막대한 돈을 내고 전경련을 이익집단화시키는데 앞장선다면 국가의 질서와 사회통합을 막는 것이나 다름없다.

여기에 대기업 총수나 가족들의 잇따른 비위는 재벌체제가 자정능력을 상실했다는 것을 보여주기에 충분하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구속은 면했지만 검찰조사에서 500억원대의 횡령과 1250억원대의 배임혐의를 받고 있는 것이 대표적이다.

그렇지 않아도 지역에 있는 자영업자들과 중소기업들은 오래전부터 대기업의 무차별적인 진출과 갑질로 비명을 지르고 있다. 법의 틈새를 이용해 기업형슈퍼마켓(SSM)과 편의점을 늘렸고 대형마트를 통해서는 납품 단가를 후려치는 등 대기업의 불공정거래, 반칙과 횡포가 빈번하기 때문이다.

지금부터라도 여야가 공히 내세웠던 경제민주화가 실질적으로 실현되고 대기업 중심의 경제정책에서 벗어나 중소기업 중심으로 바뀌어야 한다. 그래야만 99%를 차지하는 중소기업들과 종사자들이 지역사회와 함께 제대로 살아갈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