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MRO사업 무산 파장 최소화해야
충북도, MRO사업 무산 파장 최소화해야
  • 이형모 기자
  • 승인 2016.09.04 20: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데스크의 주장
▲ 이형모 취재1팀장(부국장)

충북도가 7년간 공들여 온 항공정비(MRO) 사업이 무산 위기에 처했다. 핵심 파트너인 아시아나항공이 MRO사업에서 손을 떼면서 새로운 파트너를 찾거나 사업계획 전면 수정이 불가피하게 됐다.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한 사업으로 도민에게 꿈과 희망을 안겨준 사업이 비틀거리고 있다. 사업이 무산 위기를 맞으면서 수백억원을 투입해 조성한 청주 에어로폴리스 1, 2지구는 애물단지로 전락할 가능성이 커졌다.

도의회는 당장 이시종 지사의 대 도민 사과를 요구했고, 전상헌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의 경질을 요구하고 나섰다. 특위를 구성해 사업이 좌초 위기를 맞은 이유를 따져 보겠다고 벼르고 있다.

도는 이런 상황에 난감해하고 있다. 영남권 신공항이 김해공항 확장으로 결론났을 때 영남지역 주민들이 정부를 향해 비난을 쏟아 부었던 것과 비교해 도와 경자청에 집중포화가 쏟아지는 것을 억울해하고 있다.

도가 억울해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청주공항 MRO 사업은 정부가 지난 2009년 12월 청주국제공항을 항공정비시범단지로 단독 지정하면서 추진된 데서 비롯됐다.

이 사업은 핵심 파트너인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충북의 구애(求愛)를 뿌리치고 경남도·사천시와 MOU를 체결하면서 한때 위기를 맞았다. 아시아나항공을 새로운 파트너로 삼았지만 사업을 포기하면서 결과적으로 이마저 ‘헛발질’이 됐다.

정부 정책이 오락가락한 탓이 컸다. 정부는 2015년 제7차 투자활성화 대책을 발표하면서 당초 시범단지 지정에서 희망자(기업+지자체)가 사업계획서를 제출하면 국토부가 평가하는 방식으로 바꿨다.

그러면서 한국항공우주산업(KA

I), 아시아나항공 등 국내·외 항공관련 업체들은 MRO 유치에 나선 각 지자체를 대상으로 파격적인 조건을 요구했다.

청주공항 주변에서 추진되던 에어로폴리스의 경우 부지매입비와 조성비를 지자체가 부담하고, 부지조성이 완료되면 ‘유상임대’계약이 이뤄질 예정이었다.

통상적으로 경제자유구역(FEZ)과 외국인투자구역, 연구개발(R&D) 특구 등에 대한 지자체의 지원은 인·허가 서비스에 그치고 있다. MRO에 지원되는 부지매입 및 부지조성비를 비롯해 ‘부지 유상임대’와 크게 비교되는 내용이다.

항공관련 업체의 경우 인력과 장비, 건축비 등만 부담하면 된다. 국토부가 청주공항을 항공정비시범단지로 단독 지정한 정책을 계속 유지했다면 국내·외 MRO 관련 업체들은 최소한 땅값은 지불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 출범 후인 지난 2015년 1월 7차 투자활성화 대책을 발표, MRO 사업 추진 방식을 변경하면서 지자체간 과당경쟁이 촉발됐다. KAI와 아시아나의 몸값은 높아졌다. 이들은 경쟁 지자체를 대상으로 더 좋은 조건을 요구했고, 국토부는 사실상 묵인했다. 1년이 넘도록 사업 검토만 되풀이하던 아시아나항공은 결국 지난달 사업 포기를 선언해 도를 당황하게 만들었다. 도의회는 당연히 도와 경자청이 아시아나항공을 믿고 있다가 허송세월한 무능함을 비난했고, 도는 사업 무산의 이유가 정부 정책 변화 탓이 크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이 사업을 포기했다고 이 사업이 완전히 물 건너 간 것은 아니다. 그렇다고 새로운 사업 파트너 찾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도는 사업 무산의 여파를 최소화하면서도 미래 새로운 먹거리 사업을 위한 최선책을 찾는 노력을 끝까지 기울여야 한다. 위기를 새로운 기회로 만들 수 있기를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