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청소년 문제 해결 … 국가가 나서야
노인·청소년 문제 해결 … 국가가 나서야
  • 석재동 기자
  • 승인 2016.05.02 20: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정의 달 특집>위기의 가정 무엇이 문제인가

가족공동체 복원 절실 ※

흔히 5월을 ‘가정의 달’이라고 한다. 하지만 경제적 빈곤, 취업난, 양극화 심화 등은 가족해체를 앞당기는 큰 요인으로 자리잡은 지 오래다. 그 결과 부모의 이혼과 별거, 가족 구성원의 가출, 자녀양육 포기, 가족의 자살, 불화 등이 늘어나고 있다. 이는 아동과 노인학대, 패륜범죄, 청소년 문제, 가정폭력, 고독사 증가 등의 사회문제로 이어진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문제의 해법을 가족공동체 복원에서 찾고 있다.

# 혼자 먹고 살기도 힘든 세상 … 국가가 나서야

현재 우리 사회는 급속한 핵가족화와 가족해체현상 탓에 가족의 의미가 무색해지고 있다.

더욱 심각한 것은 가족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이 급속히 붕괴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2012년 여성가족부 조사자료에 의하면 조부모를 ‘우리 가족’으로 인식하는 비율은 23.4%에 불과했다. 심지어 부모와 배우자의 부모를 가족으로 인식한 비율도 77.6%, 50.5%에 불과했다.

이 같은 현상의 근간에는 사는 게 힘들고 여유가 없기 때문이다. 지난해 우리나라 가계부채는 1060조원을 돌파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게다가 청년실업률은 지난해 9%에서 올해도 멈추지 않고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혼자 벌어 혼자 살아가기도 빠듯해진 세상이 된 것이다. 사회초년생이 부모의 빈곤을 챙기기엔 지갑이 너무 가볍다. 반대로 실업자로 전락한 자녀를 부양해야 하는 현실은 기성세대들에게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가가 노인과 청년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국가는 청년실업해소가 궁극적인 가족복지의 시발점이라는 인식하에 청년정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 가족의 보살핌을 받을 수 없는 독거노인들을 위해 고정소득을 얻을 수 있는 노인일자리도 제공해야 한다. 이밖에 질병치료, 건강검진, 가정방문, 정신상담에 이르는 지원책도 필요하다. 최소한 가족공동체가 유지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 아동은 기성세대의 미래 … 학대의 순환성도 경계해야

전국의 아동학대 신고 건수는 지난 2001년 4133건에서 2014년 1만7791건으로 13년간 4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학대는 직접적인 아동의 신체적 손상과 더불어 정신적인 불안, 우울, 좌절감, 무력감, 공격성 등에 영향을 미쳐 성인이 돼서도 지속적인 영향을 끼친다. 청소년 일탈의 주된 원인으로도 작용한다.

아동학대를 개인의 문제가 아닌 가정과 사회의 문제로 다루는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2면에 계속

/석재동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