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 정선옥<음성도서관장>
  • 승인 2016.03.07 20: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서가 말하는 행복한 책읽기
▲ 정선옥

지난해 중국 길림성 용정시 인근에 있는 윤동주 생가 명동촌에 다녀왔다.

윤동주가 태어나고 자란 곳이 아담하게 보존되었다. 인근에 문학관도 소박하게 자리하고 있다. 얼마 전에는 서울 청운동에 있는 윤동주문학관을 방문했다.

건물은 버려진 물탱크와 수도가압장 시설을 재건축해 문화공간으로 만들었다. 물탱크 내부는 영상실로 만들어졌는데 외부에서 한 줄기 빛이 스며듦이 마치 후쿠오카형무소가 연상된다.

어제 늦은 밤, 영화 ‘동주’를 봤다. 시를 사랑하고, 시로 세상을 바꾸고 싶었던 윤동주는 꿈을 이루지 못하고 형무소에서 고통 속에 스물아홉의 생을 마감한다. 흑백 영화 속 동주의 표정에 번뇌, 쓸쓸함이 묻어난다.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재조명한 사촌 송몽규와의 우정, 꽃 피우지 못한 아련한 풋사랑이 애잔하다.

“계절이 지나가는 하늘에는 가을로 가득 차 있습니다. 나는 아무 걱정도 없이 가을 속의 별들을 다 헤일 듯합니다….˝ 성우의 시 낭송과 마지막 장면 속 형무소의 시리도록 눈부신 별빛, 그 안에서 쓸쓸히 죽어간 윤동주의 모습에 눈시울이 붉어졌다. 영화의 내용과 시가 잘 어우러져 몰입도가 높고 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개봉관이 적지만 자녀와 함께 보면 좋겠다. 올해 고등학교 2학년이 된 아들은 ‘흑백영화가 처음에는 어색했는데 당시의 암담한 시대상을 잘 표현했고 몰입할 수 있었다’는 말을 한다.

영화를 개봉하면서 윤동주의 유고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가 재출간 되었다. 초판본은 1955년에 10주기 기념으로 발행했다. 시집은 초판본의 디자인과 글씨체, 제본을 고스란히 간직한 형태로 출간하였다. 우리에게 낯선 세로줄 글씨와 흐린 인쇄, 한자가 읽기를 방해하지만 덕분에 행간의 의미를 되새기며 읽게 된다.

영화를 보고 책을 읽으면 영화 속 장면과 책의 내용이 오버랩 된다. 교토에서 먼저 귀향길에 오르는 사촌 몽규의 뒷모습을 쓸쓸히 바라보는 동주의 시선을 따라 ‘자화상’이 낭송된다.

‘산모퉁이를 돌아 논가 외딴 우물을 홀로 찾아가선/가만히 들여다 봅니다// 우물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습니다//그리고 한 사나이가 있습니다/어쩐지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 갑니다//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가엽서 집니다//도로가 들여다보니 사나이는 그대로 있습니다//다시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그리워 집니다//우물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고/추억처럼 사나이가 있습니다//(1939년 9월)

일제 치하의 암울한 현실 속에서 그는 아름답고 결 고운 서정시와 동시를 지었다. 별을 사랑한 순수한 문학청년 윤동주! 그의 안타까운 죽음에 잠시 할 말을 잊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