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70주년을 넘어선 친일청산
광복 70주년을 넘어선 친일청산
  • 장선배 <충북도의원(청주3)>
  • 승인 2015.08.27 19: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 고
장선배 <충북도의원(청주3)>

아직 여운이 채 가시지 않았지만 이제 차분하게 광복 70주년을 되돌아볼 때가 아닌가 싶다.

정부는 3일간의 연휴를 만들어줬고 다양한 행사를 펼치면서 침체된 사회분위기를 띄우려 했다.

그러나 광복 70주년을 맞는 기쁨에도 불구하고 국제적으로는 일본의 과거사 반성과 국내적으로는 친일청산이라는 미완의 민족적 과제가 해결기미를 보이지 않은 채 지나갔다.

국제적으로 보면 우리가 요구했던 일본의 반성과 사과, 피해배상은 한 발짝도 나가지 못했다. 아니, 더 후퇴했다.

아베 일본 총리의‘전후 70주년 담화’에는 과거 제국주의 침략에 대한 직접적인 반성도, 진심어린 사죄도 없었다. 일본은 지금 극우주의자들을 중심으로 과거사에 대한 사죄가 아니라 군국주의 부활을 꾀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전쟁을 포기하고 군사 전력을 갖지 않으며 교전권을 부인한다’는 평화헌법 개정이 추진되고 있다.

아시아에 대한 군사적 진출 확대와 독도의 영유권 주장 등 영토분쟁을 촉발시키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우리 내부적인 과제는 역사인식을 올바로 하고 흐트러진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는 일이다. 이번 광복절을 앞두고 회자된 두 가지 사례는 우리의 현주소를 상징적으로 보여줬다.

하나는 홍영표 국회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스스로 조부가 친일행적을 한 친일파의 후손이라고 밝히고 민족 앞에 사죄하는 마음으로 살아가겠다고 참회한 것이다.

반면 다른 하나는 박근혜 대통령의 여동생 박근령씨가 일본 ‘니코니코’ 특별방송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자꾸 일본만 타박하는 뉴스가 나가서 죄송하다”고 했고, 일왕에게는 ‘천황폐하’라고 호칭하는 등 역사인식에 큰 문제를 드러낸 것이다.

광복절을 전후해 크게 흥행한 영화가 있다.

일제 강점기 때 친일파 암살 작전을 그린 영화 ‘암살’이다. ‘암살’의 흥행은 광복 70주년을 맞는 국민들의 일반적인 정서를 대변한다고 해도 무방할 것 같다.

친일파들을 단죄하기 위해 만들어진 반민특위가 이승만 정권에 의해 강제 해체된 이후 미뤄져 왔던 친일청산 이라는 민족적 과제에 대한 공감일 것이다.

영화 ‘암살’은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는 일이 70년의 세월을 건너 우리시대의 과제로 넘어와 있음을 새롭게 인식시켜 주는 것 같다.

최근 충북도의회 집행부가 고민하고 있는 일본 야마나시(山梨)현 의회와의 교류재개 문제도 이와 무관할 수 없다.

도의회는 일본이 교과서 해설서에 독도를 자국 영토로 명기했던 2008년부터 교류를 중단했는데, 8월초에 야마나시현의회 대표단이 도의회를 방문해 교류 재개를 요청한 상태다.

일본 아베 정권이 과거사에 대한 반성과 사과 없이 독도의 영유권 주장과 집단 자위권 행사를 강화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교류 재개는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도의회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일본 야마나시현의회에 이런 교류재개 불가의 이유를 전달해야 할 것이다.

이제 광복 70주년은 지나갔다. 그렇지만 국제적으로 일본에게 과거사에 대한 진정한 사죄를 받아내고 대내적으로는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는 과제는 여전히 우리 앞에 놓여 있다.

이 과제들이 해결돼야 진정한 의미의 광복이 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