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석교, 이대로 둘 것인가
남석교, 이대로 둘 것인가
  • 박상일 <역사학박사, 청주대박물관>
  • 승인 2015.07.02 17: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時論
▲ 박상일 <역사학박사, 청주대박물관>

청주 육거리시장 지하에 묻혀 있는 남석교는 청주읍성 남문 밖의 무심천을 건너기 위해 가설된 돌다리로서 문헌기록에는 한선제 오봉원년 즉 기원전 57년에 건립된 것으로 나온다. 기록상으로는 우리나라 최초의 다리이다. 2004년도에 청주대박물관이 발굴한 결과 총 길이가 80.85m이고 구조는 3열의 교각 위에 장대석을 가로지르고 그 위에 세로의 장귀틀과 가로의 청판돌을 놓아 마감한 장석판교(長石板橋)로서 조선시대 다리중 제일 길다는 현존 서울 살곶이다리보다 5m나 긴 것으로 확인됐다. 

남석교의 명칭은 시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대교(大橋)’라 소개하고 곧 정진원(情盡院) 앞에 있는 다리라 설명했다. 조선시대에 무심천을 대교천(大橋川)이라 부른 것은 바로 이 대교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후 「여지도서」 등 각종 지리지에는 본문에는 ‘대교’라 기록하면서도 첨부된 지도에는 ‘남석교’라 표기하더니 「충청도읍지」에 이르러서는 본문에까지 남석교라 기록해 공식명칭이 됐다. 일제강점기에는 ‘청남교’라 불렀는데 위치상 청주의 남쪽이기도 하지만 읍성 남문인 ‘청남문’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이밖에 1723년과 1795년에 남석교를 수리 또는 개건했다는 기록이 보인다. 교량의 특성상 수차례 홍수 피해를 보았을 것이고 그때마다 보수했던 것이다. 

남석교의 창건 시기는 분명하지 않다. 오봉원년에 창건했다는 설은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이기 어렵고 그만큼 오래된 다리임을 강조한 것으로 이해된다. 남석교 창건과 관련하여 필사본 「낭성지」의 기록이 주목된다. 청주읍성은 본래 용두사터로서 절을 폐하고 읍성을 세웠는데 읍성의 앞이 개설되지 못하자 용두사의 스님이 이 다리를 창건했다는 내용이다. 현존하는 용두사철당간으로 보아 통일신라부터 고려 초기까지 용두사가 존재한 것이 확실하므로 사실에 부합되는 이야기이다. 또 다른 전설에 의하면 신라시대 어느 과수댁이 대원사 수행승에게 아이를 맡기고 성에 들어간 사이 아이가 외나무다리를 건너다 물에 빠져 죽자 대원사 주지가 이를 미안하게 생각하고 인근 고을의 스님들을 총동원해 돌다리를 놓았다는 것이다. 이 전설도 스님에 의해서 가설된 것으로 되어 있어 흥미롭다. 

남석교는 1920년대에 무심천 제방축조로 인해 물길이 바뀌면서 매몰되기 시작해 1930년대에는 완전히 지하에 묻혔다. 1923년에 간행된 「청주연혁지」에 당시 상황이 자세히 소개됐는데 길이 34~35칸으로 근래까지 2층의 교각이 있었으나 수류의 변천으로 토사에 매몰되어 겨우 그 일단을 엿볼 수 있을 뿐이나 교판과 교각은 얼마나 거대한 석재로 돼 있는지 가설 당시 청주의 영화를 상기하는데 충분하다고 했다. 

남석교는 청주읍성과 함께 청주의 위상을 나타내는 표상이며 우리나라 교량과 토목기술사의 정수를 보여주는 역사문화유산이다. 석교 양끝에 세워졌던 개 석상(石橋石狗)은 서원 8경에 들 만큼 명물이었다. 정월 대보름날에는 남녀노소가 한데 어우러져 답교놀이를 하던 세시풍속의 장소였고 청주의 관문으로서 오고 가는 사람들에게는 만남의 가교였다. 오늘도 남석교 위에는 무수한 사람들로 붐빈다. 그러나 정작 남석교는 아스콘을 덮어쓴 채 숨도 쉬지 못하고 있다. 

남석교는 이미 보존과 활용에 대해 구체적인 세부계획이 제시됐다. 물론 현실적인 어려움이 많다. 그러나 남석교는 덮인 흙을 걷어내어 노출시켜 놓기만 해도 보물로 지정될 것이 틀림없고 육거리시장은 보물을 품은 전통시장으로 더욱 유명해 질 것이다. 문화융성을 외치는 이 시대에 동아시아문화도시를 꿈꾸는 청주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길고 완전한 돌다리를 이대로 땅속에 계속 두어야 하는지 고민해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