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의 寶庫'·`중부권 젖줄' 이면엔 낙후된 개발제한구역
`자연의 寶庫'·`중부권 젖줄' 이면엔 낙후된 개발제한구역
  • 엄경철 기자
  • 승인 2015.05.07 20: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북3개 국립공원 2개 다목적댐 지역발전 규제인가 기회인가
대청댐
소백산 구인사 월악산

<1> 프롤로그

충북은 산악지대이면서 물이 풍부한 곳이다. 수려한 자연자원과 물 자원은 3개 국립공원과 2개 다목적댐이 있기에 가능하다.

국립공원은 속리산국립공원, 월악산국립공원, 소백산국립공원이 있다. 3개의 국립공원 면적은 전국 국립공원 3825㎢의 15%인 581㎢에 달한다.

국립공원은 북부지역의 충주, 제천, 단양에서 중부권 괴산, 남부권 보은까지 분포됐다. 속리산국립공원은 보은과 괴산 일부 지역이 포함됐다. 월악산국립공원은 충주와 제천, 소백산국립공원은 단양군이 속해 있다.

이들 지역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된지 30~40여년이 됐다. 국립공원 지정 이후 수십년동안 자연자원이 보존됐다. 각종 희귀동식물, 조류가 서식하는 자연의 보고(寶庫)가 된 것이다. 국립공원이 보유한 천혜의 자연자원에 대한 부가가치가 그만큼 높아졌다.

다목적댐은 2개가 있다. 금강의 대청댐과 남한강의 충주댐이다. 2개 다목적댐의 저수면적은 152㎢다. 전국 다목적댐 저수면적 620여㎢의 25%에 해당한다. 저수면적 만큼 물 자원을 확보하고 있다.

대청댐은 금강을 막은 거대한 인공호수다. 중부지역의 홍수조절과 용수공급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대청댐의 저수구역은 충북 청주, 보은, 옥천과 대전지역이 포함됐다. 담수지역 80% 이상이 충북이다.

특히 충청권의 중요한 식수원이다. 충북은 물론 대전, 세종, 천안 등 충남지역까지 물을 공급하고 있다. 중부권의 없어서는 안 될 젖줄인 셈이다.

충주댐은 남한강 유일의 다목적댐이다. 남한강 줄기의 중요한 홍수조절 역할을 맡고 있다. 강원 북부지역 등 남한강 상류에서 큰 비가 내리면 충주댐에서 수위를 조절하게 된다. 홍수기 충주댐 수위조절을 실패하면 하류인 경기지역과 서울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충주댐은 충북 북부와 수도권에 물을 공급하고 있다. 충주와 제천, 단양이 담수지역이다.



# 낙후된 국립공원·댐 지역

도내 국립공원과 댐 주변지역은 낙후지역이 많다. 속리산국립공원이 있는 보은, 괴산, 월악산과 소백산국립공원의 충주, 제천, 단양의 일부 지역이 낙후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산악지대라는 열악한 환경도 있지만 국립공원으로 묶인 수십년 동안의 개발제한 영향이 크다. 보존된 천혜의 자연자원을 활용한 먹거리 창출도 신통치 않다. 국립공원 지정 초기보다는 개선됐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지역개발은 엄두도 못 내고 있다.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공간이어야 할 국립공원의 현재 모습이다.

다목적댐 주변지역도 마찬가지다. 대청댐은 건설된지 45년째다. 그동안 각종 규제의 대명사였다.

1980년초까지 10만 인구를 자랑하던 보은군은 3만명대의 낙후 농촌지역으로 전락했다. 옥천군과 청주시 문의면 댐 주변지역도 낙후지역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상수원 보호구역 등에 묶여 각종 개발행위에 규제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 국립공원·댐 주변지역간 이해관계

충북의 3개 국립공원은 북에서 남으로 백두대간이 이어지고 있다. 백두대간을 경계로 충북과 경북이 국립공원을 공유하고 있다.

소백산은 단양과 영주, 풍기가 국립공원내에 있다. 월악산은 충북 충주, 제천, 단양과 경북 문경지역이 공원으로 지정됐다. 속리산은 충북 괴산, 보은, 경북 상주가 있다.

국립공원내에 있는 이들 지역간에 늘 이해관계가 충돌했다. 속리산 문장대 온천개발이 대표적이다. 경북이 문장대 온천개발에 나서자 괴산이 크게 반발하면서 오랫동안 갈등을 빚어왔다. 소백산은 단양과 영주가 지명을 놓고 대립했다.

국립공원 인문과 자연자원 활용도 지역간 차이가 있다. 경북은 일부 국립공원 자연자원을 활용한 각종 도시마케팅에 적극 나서고 있다. 충북도 이에 자극받아 대응하고 있지만 경쟁력이 약하다.

소백산의 경우 단양과 영주가 각각 소백산철쭉제를 열고 있다. 갈등은 없지만 같은 소백산 문화권의 지자체들이 상생과 공존이 아닌 대립과 경쟁으로 소모전만 펼치고 있는 것이다.

댐 주변지역도 지역간 이해관계로 갈등이 내재돼 있다. 대청댐은 담수구역 80% 이상이 충북이다. 댐 상류지역은 항상 피해의식이 있다. 대청댐으로 인한 수혜는 담수구역이 얼마되지 않는 대전이 받고 있다. 대전은 식수원 보호를 주장하고 있다. 반면 수십년동안 규제 피해를 입은 충북은 규제 완화를 요구하고 있다.

충주댐도 수도권은 물론 담수지역인 충주, 제천, 단양간 이해관계가 얽혀있어 언제든지 분쟁이 야기될 수 있는 요인을 안고 있다. 수혜를 보는 쪽과 피해를 보는 쪽 입장이 늘 대립하고 있는 것이다.

/엄경철기자

eomkc@cctimes.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