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급장
계급장
  • 정세근 <충북대 철학과 교수>
  • 승인 2015.04.22 18: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세근 교수의 인문학으로 세상 읽기

난 그것의 이름을 모른다. 누구든 알면 가르쳐줬으면 좋겠다. 내가 말하려는 것은 군대계급장 밑에 붙어 있는 무궁화와 두 잎을 가리킨다.

계급장은 아니다. 장교급에는 모두 붙어 있기 때문에 계급을 표시하는 것은 아니다. 물론 일반병에는 달려있지 않기 때문에 큰 의미에서 계급표시라고는 할 수 있지만 뭉뚱그려 붙이는 것이기 때문에 제대로 된 의미에서 계급장은 아니다.

그렇다고 휘장인가? 휘장은 부대를 상징하는 표식이다. 해병대 휘장, 공수부대 휘장, 제5사단 휘장 등이다. 하는 일로도 구별될 수 있다. 참모, 감찰 등 병과로도 나뉠 수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우리는 역할보다는 부대가 우선된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군대계급장의 무궁화와 이파리는 뭐라고 불러야 하나?

보조 계급장이라고 하기에도 뭐하고, 계급장 장식이라 하기도 뭐하다. 보조 계급장이라고 하면 일반계급장 말고 간략하게 쓸 수 있는 보조적인 계급장 같고, 계급장 장식이라고 하면 장식을 최소화해야 할 전투복에 불필요한 그것을 달아놓는다는 것이 우스꽝스러워 보인다.

어쨌든 현재의 우리나라 군인들은 병을 빼놓고는 모두 무궁화와 두 잎을 달고 다닌다. 정복이나 예복이면 필요할지도 모르지만 전투복에도 말이다.

본디 우리나라 소위, 중위, 대위 계급장에는 무궁화가 없었다. 그런데 내 기억이 맞는다면 전두환 정권 당시 군인의 사기를 올린다면서 위관급에게도 무궁화를 붙여주었다. 영관급과 장성급은 너무도 높으신 분들이기에 기억이 나지 않는다.

그러다가 내가 찾은 기록에 따르면, 하사, 중사, 상사, 원사에게도 1996년 10월1일자로 무궁화를 넣어주었다. 명분이야 군인들의 자존감을 높이기 위해서라는 것이었을 테고.

여기서 묻자. 과연 무궁화는 필요할까? 미군 계급장에는 기본적으로 그런 장식이 없다. 계급은 계급일 뿐이다. 좋다. 무궁화를 넣기 시작했으면 이제는 민주군대이고 군대의 기간은 병(기간병)인데, 병에게도 넣으면 안 되나? 전군에게 무궁화를 넣기에는 부사관들의 입장이 난처해서 그런가? 차츰 내려온 무궁화인데 그렇다면 병장만이라도 우선 넣으면 안 될까? 10년 후에는 상병, 10년 후에는 일병, 그리고는 전군에 달거나, 아니면 전군에 빼면 안 될까?

우리나라 무궁화의 남발이 군사정권 때부터 시작됐다는 것을 생생하게 기억하는 나로서는 여전히 그 무궁화가 신경 쓰인다. 게다가 군대는 전투복이 곧 위장복 아닌가?

알다시피 요즘은 길거리에서 별을 단 자동차를 거의 보지 못한다. 군사정권 당시에는 빨간 바탕에 별만 한 개, 두 개 단 차들이 거리를 활개쳤다. 경찰들도 경례하고, 모든 일에서 무사통과였다. 그러다가 요즘은 평소 때는 일반번호를 달다가 행사 때만 별판으로 바꾼단다.

무궁화가 가장 나쁜 것은 멀리서 볼 때 꼭 계급이 하나 더 붙어 있는 것으로 보이는 것이다. 중령은 대령처럼, 소위는 중위처럼 보인다. 어디까지가 장식이고 어디까지가 계급표시인지 혼동되어 벌어지는 일이다.

얼마전 별 두 개 소장님께서 학교에 방문하셨는데, 검은 육군예복에 달린 별과 그 별을 두 잎으로 받히고 있는 무궁화가 여전해서 주절거려본다.

예전 같으면 말도 못 붙일 높으신 분인데 내 나이가 벌써 그 나이가 됐다니, 조국에 충성할 시간이 참으로 얼마 남지 않았다.

/충북대학교 철학과 교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