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정독
논어정독
  • 정선옥 <음성도서관장>
  • 승인 2014.12.08 19: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서가 권하는 행복한 책읽기
정선옥 <음성도서관장>

사서로 근무하면서 보람 있는 일은 도서관에 학부모 독서회를 만드는 데 있다. 도서관이 바뀔 때마다 독서회를 조직하고 리더 역할을 하면서 함께 책을 읽고 토론하는 시간은 행복하다. 

지난 9월 우리 도서관에 인문학 서평 쓰기 모임을 개설했다. 제목이 거창해서 신청자가 없을까 걱정했는데 12명이나 모였다. 개강 첫날 참여하게 된 동기를 묻는 말에 “인문학 공부를 하고 싶었다”, “귀농해서 답답했는데 독서토론모임이 생겨서 좋다”는 뜨거운 반응이다. 

첫 책으로 다소 무거운 도올 김용옥의 ‘중용, 인간의 맛’을 선정했는데 책에 밑줄 긋고, 포스트잇을 붙이며 읽는 모습에 감동했다. 지난 모임에는 친분 있는 김이설 작가에게 재능기부를 부탁하고 강연회를 열었는데 미리 책을 읽고 온 회원들의 질문과 사인회, 각자 준비한 음식을 나누는 시간은 따뜻했다. 

올해 마지막 토론도서는 동양철학의 고전인 ‘논어 정독’(부남철 역주·푸른역사)을 선정했다. ‘마흔, 논어를 읽어야 할 시간’의 저자 신정근은 “공자의 논어는 커피로 치면 부드럽고 여러 맛을 깊게 느끼게 하는 카페모카의 맛”이라고 했다. 논어에는 절차탁마, 아는 것은 좋아하는 것만 못하고, 좋아하는 것은 즐기는 것만 못하다, 과유불급 등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접했던 글이 나온다. 그저 어렵게만 느껴졌던 논어가 의외로 쉽게 읽히는 이유다. 동양철학의 기본은 논어라는 말에 수긍이 간다. 

공자는 제자들과 중국의 여러 나라를 다니며 자신을 등용해줄 왕을 찾았으나 아무도 불러주는 이가 없었다. 정치에 뜻을 두고 끊임없이 정계 진출을 꿈꿨지만 결국 이루지 못했다.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음을 근심하지 말고 잘하지 못함을 근심하라”라고 했지만 정작 본인은 “나를 알아주지 않는구나”하며 한탄하는 모습은 안타깝다.

논어의 핵심은 인(仁)이다. “공자가 생각하는 인(仁)은 글자 그대로 두 사람이 완전히 하나가 되는 것이다. 서로 피가 통하고 신경이 통할 정도로 정신적으로 하나의 몸이 될 수 있도록 사랑하는 것이다. 그런 사랑을 자기가 주도하는 것이다. 그 사랑의 일차적 대상이 바로 자기 자신이다.” 사랑의 대상은 일차적으로 자기 자신이며, 부모님과 가족, 나아가 타인을 사랑하는 것이다. 공자는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행위가 공부이며 첫 장이 학이(學而)로 시작하는 이유라고 한다. 

나이가 들어가지만 여전히 가치관이 혼란스럽고 뚜렷한 자기관을 정립하기 어렵다. 친구, 이웃, 사회생활의 관계 맺음에 어려움을 느낀다. 논어를 읽으면서 관계 맺음, 직장생활의 애매모호했던 것들이 정돈되는 느낌이다. “제가 원치 않는 것을 다른 사람이 저에게 하지 말아주기를 바라는 것처럼 저도 다른 사람이 원하지 않는 것을 가하는 일이 없게 하겠습니다”라는 선배 또는 상사로서 아랫사람에게 지켜야 할 예의다. “다른 사람이 자신을 알아주지 않음을 근심하지 말고 알아줄 만한 실력을 구비하라”라는 조금은 나태해져 있는 나를 채찍질한다. 

논어를 읽으며 나의 부족함을 채워 나간다. 이제는 매사에 좀 더 느긋해지고, 이해심이 많아질 것을 믿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