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칼럼
녹색칼럼
  • 충청타임즈 기자
  • 승인 2006.09.18 09: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명박show, 경부운하 건설의 허구
염 우 <충북환경연합 사무처장>

반응은 두 가지로 나타난다. 이 문제가 더 가시화되기 전에 뿌리 뽑아야 한다는 것과 또 하나는 자승자박 즉 현실성 없는 스스로의 꾀에 스스로가 넘어가는 문제에 너무 예민하게 대응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청계천 복원사업으로 일약 대선주자의 대열에 오른 이명박 전 서울시장의 경부운하 건설 주장을 두고 하는 말이다. 그는 지난 8월 충주와 문경까지 거리 20.5에 달하는 산줄기를 뚫어 한강과 낙동강의 물길을 연결하겠다는 경부운하 구상을 발표했다. 해프닝이 아니라는 점을 각인시키고자 하는 듯 최근에는 경부운하의 경인구간에 조성할 용지를 남북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방안을 내놓으며 구색 갖추기를 하고 있다.

경부운하에 관련된 내용은 이미 1995년 세종연구원이'신국토 개조전략'의 일환으로 검토했으나 당시 10조원이 넘는 비용부담 등 현실성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타당성 여부를 떠나 세간의 논란을 자아내고 잇는 만큼 그 문제점과 허구성을 짚어볼 필요가 있다. 우선, 경부운하는 자연지리의 원리와 물 순환 체계를 인위적으로 깨트려 보겠다는 발상이다. 전통적 지리체계인 산경표에는'산자분수령'이라 하며, 물을 나누는 것이 바로 산이며 물은 산을 넘을 수 없다는 당연한 진리를 일깨워 주고 있다.

국토의 중심 산줄기인 백두대간에서 분기된 물줄기는 끊임없이 낮은 곳으로 흘러 하나는 한강하구로 하나는 낙동강 하구에 이른다. 경부운하의 원리를 조금 더 확대해 보면 한강과 낙동강을 연결하여 수로를 내겠다는 것인데 이를 위해서는 하구에서 하구로 이어지는 500 전 구간을 최대 630여m(새재의 표고)까지 파내어 국토의 한 쪽을 섬으로 잘라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보다 현실화하기 위해 충주와 문경까지의 구간만 뚫겠다는 것인데, 이 역시 자연지리의 물순환체계의 근본을 깨트리자는 취지에 다름없다.

다음, 타당성을 떠나 이 사업을 추진한다면 그것은 가장 최소한 효과를 위하여 가장 최대한 부담을 서택한 역사적 사건으로 기록될 수 있을 것이다. 장사에 있어서 기본은 정반대다. 최소비용으로 최대이익을 내야한다.

하물며 시속 300 이상의 속도로 고속전철이 질주하고 있는 시대에 그들의 주장으로도 무려 17조원 이상이 투입되는 국책사업을 들여 60여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뱃길을 만들어 어떻게 물류혁신을 가져오겠다는 것인지 알 수 없다. 팔당댐과 충주댐은 배가 넘을 수 있도록 재개발하고, 백두대간 일정구간을 절개하거나 뚫어야 한다. 수심이 얕아 수백톤의 배의 무게를 수용하지 못하는 수많은 구간을 준설하거나 무수한 갑문과 댐을 설치하여 보완해야 한다. 같은 높이를 떠나 계단을 한반도 끊어지지 않게 이어야 하는 일과 같다. 끝으로,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건 혹은 지리원리에 맞지 않건 경부운하를 건설하였다고 치자.

그러나 그것은 강와 유역이 제공하는 다원적인 기능을 포기하고 물류수단으로만 전락시키는 꼴이다. 흐르며 정화되는 강물을 운하유지용수로 고정시켜 놓을 경우 수질은 악화 될 것이다. 물먹지 말고 용수공급하지 말고 배만 띄우자는 것인가 물길따라 형성된 관광자원, 문화, 수많은 생물종들이 살아가는 생태계의 보고는 없어도 된다는 것인가

그렇다면 왜 그동안 정부는 십여조원씩 퍼부어가며 물관리종합대책을 펼쳐왔나 강과 유역에 대한 상식적 수준의 이해가 절실하다는 판단이다. 청계천 복원사업을 다시 한번 언급하자면, 반응은 두 가지였다. 밀어붙이기 식으로 복원한들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하는 우려와 복개보다는 그래도 복원이 낫다는 긍정이었다. 아무도 청계천을 자연형하천이라 생각하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의미를 부여했던 것은 이명박식 밀어부치기가 아니라 살려내는 것에 관한 정당성이었다. 경부운하 건설이 아니라 단절된 백두대간을 복원하자는 주장을 하였다면 일관성이라도 있어 보였을 것이다. 이제 쇼는 그만 하길 바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