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가을
또 가을
  • 김태봉 <서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 승인 2013.08.19 21: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태봉교수의 한시이야기
김태봉 <서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대개 양력 8월 7일 쯤이 입추(立秋)이고, 입추(立秋)가 지나고 나면 곧 가을이다. 여름의 기세가 한 동안은 여전히 등등할 것이지만, 그래봐야 그게 얼마나 가겠는가 찌는 듯한 여름 무더위가 아무리 지긋지긋해도, 세월이 지나는 것이 안타까운 것은 어쩔 수가 없다. 나이가 들수록 세월 가는 것이 빠른 건 세월의 심술인가? 아니면 인간의 욕심인가? 당(唐)의 시인 두보(杜甫) 역시 나이 든 뒤 맞은 입추(立秋)가 반갑지 만은 않았다.

◈ 입추후제(立秋後題)

日月不相饒(일월부상요) : 해와 달이 너그럽지 않아

節序昨夜隔(절서작야격) : 계절이 어젯밤으로 바뀌었네

玄蟬無停號(현선무정호) : 가을매미는 그침 없이 울고

秋燕已如客(추연이여객) : 제비는 이미 나그네 신세로고

平生獨往願(평생독왕원) : 평소 홀로 가기를 바랐건만

惆悵年半白(추창년반백) : 서글프게도 나이가 쉰이 되었네

罷官亦由人(파관역유인) : 벼슬을 그만두는 것 또한 사람 탓이니

何事拘形役(하사구형역) : 무슨 일로 육신의 부림에 매이고 사는 것인지?

 

※ 앞서거니 뒤서거니 서로 양보하는 것은 인간살이의 큰 미덕이다. 그러나 결코 양보가 없는 것이 있으니 바로 해와 달, 곧 세월이다. 시인은 이것을 너그럽지 않다(不饒)라고 의인화(擬人化)하여 표현하였다. 24절기(節氣) 중 열세번째인 입추(立秋)가 오늘이니, 어젯밤을 경계로 계절이 바뀌었던 것이다. 현실에서는 입추(立秋)가 되었다 해서, 하루아침에 여름의 모습이 가을 정취로 바뀌는 것은 아니겠지만, 시인의 예민한 감각에는 이미 가을의 조짐들이 포착되고 있다. 검은 매미는 여름 곤충이지만, 늦여름과 초가을에 유난히 그 우는 소리가 크고도 멈춤이 없다. 시인은 검은 매미가 그치지 않고 우는 데서 가을을 감지한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봄에 찾아와서 여름을 난 제비가, 마치 당초 예정된 시간을 다 머물다 떠나는 손님처럼, 남쪽으로 떠나가고 있다. 이러한 가을 매미의 움직임 또한 가을이 성큼 다가온 징표로서 시인은 인식한다. 무더위에 지친 사람들은 가을을 반기는 경우가 많지만, 시인은 가을이 전혀 반갑지 않다.

왜냐하면, 세월이 가기 때문이다. 평소 홀로 가기를 바랐다는 말이 무엇을 뜻하는지 명확하지 않지만, 아마도 남의 신세를 지지 않고 자신의 힘으로 가족을 건사하는 것이리라. 성큼 다가 온 가을이 지나면 시인은 나이가 쉰이 되지만, 여전히 궁핍하여 남의 신세를 지면서 살고 있다. 이래서 시인은 가을이 오는 것이 싫은 것이다. 나이는 이미 쉰을 넘어 서지만, 생활은 곤궁하고 불안정한 것을 시인은 한탄한다. 어렵사리 얻은 관직을 그만 두기란 쉽지 않지만, 시인은 정신적인 구속이 싫어서 그것을 과감히 그만 둔다. 비록 몸이 힘들더라도 마음이 편안한 것을 시인은 선택하였다. 비록 곤궁하여도 사람에게 시달리면서, 구속을 받으면서 사는 것을 시인은 참지 못했던 것이다.  

여름은 길었지만, 지나고 나면 도리어 그립고 아쉽다. 곧 가을이 오고 한 해가 다 갈 것이기 때문이다. 해가 쌓이고 나이가 들수록 사람이 부자가 되거나 현명해진다면 얼마나 좋겠냐마는, 현실은 그 반대인 경우가 더 많다. 사람은 나이가 들수록 세월에 순응하면서 욕심을 줄이고 마음이 편한 쪽을 택해서 사는 것이 현명하다는 것을 매미 울음소리가 일깨우지 않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