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혀져 가는 생활도구 <33>
잊혀져 가는 생활도구 <33>
  • 충청타임즈
  • 승인 2006.03.31 17: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채
에어컨과 선풍기가 없던 시절, 한여름 삼복더위를 피하기 위해 우리 선조들은 하얀 모시옷을 입고 탁 트인 대청마루에 누워 부채질하며 지내는 모습을 보면 마치 민화속 신선처럼 느껴지며 그 시원함을 누구나 공감하게 된다.

우리 선조들은 7∼8월 삼복더위에 바람 한 점 없이 폭염이 내려 쬐어도 잠자리 날개 같은 모시옷에다 부채 하나면 거뜬히 여름을 나고 풍류까지 갖출 수 있었다.

더불어 우리나라 가옥의 건축구조는 흙과 나무를 자재로 사용하고 전면이 남쪽 방향을 향하도록 하며 앞문과 뒷문을 일직선상에 배치, 활짝 문을 열면 맞바람이 불어 삼복더위를 피하도록 과학적인 설계로 지었다.

현대들어 전기가 발명되고 선풍기와 에어컨이 나오면서 전기만 있으면 어디서나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생활하는 시대가 되었지만 오히려 냉방병에다 환경변화에 적응을 하지 못해 건강을 해치는 도구가 되기도 한다.

요즘의 젊은이들은 부채가 옛사람들의 유물로 여기지만, 한여름 그늘진 느티나무 밑 들마루에 누워 매미소리를 들으며 부채로 더위를 쫓는 한가로움과 더불어 가슴과 머리까지 시원해지는 느낌을 어찌 표현할 수 있을까. 부채의 기원은 삼국시대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삼국시대부터 조선조까지 여름철이면 왕들이 신하들에게 부채를 선물했다는 기록을 보면서 당시 부채가 얼마나 귀했었는지를 알 수 있다.

부채 만드는 방법은 대나무를 잘라 납짝한 막대모양으로 만든 뒤 손잡이 크기만큼을 남기고 그 윗부분을 잘게 쪼개 부챗살을 만든 후 풀을 발라 종이를 바르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또 접는 부채(合竹扇)는 납작한 대나무 살 끝을 층층으로 모은 후 고정쇠를 찔러 넣어 고정쇠를 중심으로 펼쳤다 접었다 하게 만든 뒤 부챗살을 펼친 상태에서 창호지를 발라 살과 살 사이 종이를 접어 넣은 것이다.

부채는 손잡이를 길게하여 바람도 일으키고 파리등 해충을 쫓는 ‘방구부채’와 ‘합죽선’이라는 접는 부채로 구분하는데, 방구부채는 집안에서 여성들이 사용하고 접는 부채는 남자들이 외출할 때 필수적으로 들고다니는 부채다.

역사속의 오래된 부채는 거의가 방구부채로 만들어졌으며, 접는 부채는 고려초기에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것이라는게 역사학자들에 의해 입증됐다.

가장 많이 쓰이는 방구부채는 태극문양을 그려 넣으면 ‘태극선’이되고 꽃이나 나비를 그려 넣으면 ‘화접선’이 된다. 연잎모양은 ‘연잎선’, 오동잎 모양은 ‘오엽선’, 파초잎은 ‘파초선’, 웃어른께 부쳐드리는 ‘효자선’ 등 생김과 이름도 다양하다.

흔히 부채에는 ‘팔덕선(八德扇)’- 여덟가지 덕이 있다고 하는데 첫째가 부치면 바람이 일어 시원하고 둘째, 모기나 파리를 쫓을 수 있고 세째, 음식이나 음식 담긴 그릇을 덮을 수 있고 네째, 길을 걸을 때 뜨거운 햇볕을 가릴 수 있고 다섯째, 불을 붙일 때 바람을 일으켜 잘타게 하고 여섯째, 땅에 앉을 때 깔개로 쓰고 일곱째, 청소할 때 쓰레기를 담고 여덞째, 여자들이 머리에 물건을 일 때 똬리 대신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효자선’은 늙으신 부모님이 잠자리에 드시기 전에 이부자리 속을 부채로 부쳐서 시원하게 해놓고, 잠자리에 드신 후에도 부채질을 계속 해드려 잠들게 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조상들은 부채 하나에도 효를 부여했고, 화가는 부채속에 그림을 그려 넣는가 하면, 서예가는 글을 쓰고, 문장가는 시를 적어 친지들과 주고 받으며 요긴하게 썼던 것이 부채다. 지난 1988년 서울 올림픽때 한국선수들이 태극선 부채를 흔들며 입장할 때 관중들이 환호하던 추억을 떠올려본다.무더운 여름 부채만큼 좋은 선물이 있을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