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후폭풍 정치 지형 바꿀까
지방선거 후폭풍 정치 지형 바꿀까
  • 충청타임즈
  • 승인 2006.06.01 0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열린우리당 참패, 한나라당 압승.’ 5·31 지방선거가 주요 방송사 출구조사 결과로 볼 때 이변은 없었다.

하지만 선거 후폭풍의 강도는 가늠이 쉽지 않다.

갖가지 정계개편 시나리오만 무성한 가운데 정치 지형을 흔들만한, 대대적인 정치권의 움직임이 가시화될 것은 확실하다.

당장 열린우리당이 내홍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박근혜 피습’이라는 돌발변수가 생겼지만, 우리당은 선거기간 내내 무기력했다.

선거 때마다 ‘민주노동당=사표(死票)’을 부르짖었던 여당이다.

입장이 바뀌어 ‘열린우리당에 가는 표가 죽은 표’라는 역공을 받았다.

정동영 의장의 사퇴론도 제기될 전망이다.

‘자강론’(自强論)을 펼쳤던 정 의장이다.

그러나 선거 후 민주당, 고건 전 총리를 언급하며 ‘민주세력 대연합론’을 주장했다.

당내 반발이 거셌다.

이미 친노그룹으로부터 ‘당을 떠나라’는 요구도 받았다.

이는 사실상 선거후 정국 주도권을 놓고 계파간 전면전을 예고하는 신호탄이었다.

이런 압력이 높아지면 정 의장 등 지도부가 총사퇴하고 비상대책위원회가 꾸려질 여지가 있다.

‘선거 책임론이 당을 다 죽일 수 있다’는 위기감이 변화의 속도를 늦출 수는 있다.

그러나 시점이 문제지 탈당, 분당, 신당 창당 등의 가능성은 존재한다.

우선 예측 가능한 시나리오는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의 통합이다.

당 대 당 통합이든 한쪽으로의 흡수 통합이든 한 깃발 아래 헤쳐모일 가능성이 있다.

정 의장계로 분류되는 당권파와 양당 호남 출신 의원들이 줄기차게 주장해온 정계개편 방향이다.

여기에 고건 전 총리가 합세해 대선 전선을 ‘보수 대 진보’, ‘한나라당 대 반(反)한나라당’으로 구축하겠다는 복안이다.

이 과정에서 우리당이 분당될 것이란 예측이 가능하다.

민주당과의 통합은 ‘민주세력 대연합’이라는 명분을 내걸더라도 결국 호남을 지역 기반으로 하는 지역정당으로의 회귀라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우리당이 ‘지역정당 탈피=정치개혁’을 표방하며 창당됐다는 점을 감안할 때 노 대통령과 친노 그룹으로서는 납득이 안되는 구도다.

친노 직계 중 강경파로 분류되는 김두관 최고위원은 대연합론을 주장하는 정 의장에게 ‘선거전 사퇴 및 탈당’을 요구했다.

선거 패배의 책임을 물어 정 의장의 사퇴를 제기할 수도 있다.

정 의장측과 대립각을 세워온 김근태계와 재야파에서도 지도부 총사퇴론에 힘을 실을 가능성이 높다.

민주당은 사실상 우리당의 ‘백기투항’을 요구하고 있다.

우리당이 완전히 무너져야 민주개혁 세력이 재건된다는 주장이다.

한화갑 대표는 통합의 전제조건으로 노 대통령의 탈당을 요구하고 있다.

노 대통령이 탈당할 경우 이광재 의원 등 친노그룹이 동반탈당할 가능성이 높다.

규모가 작으면 탈당이지만 커지면 분당이다.

‘중도개혁 실용주의’를 부르짖는 고건 전 총리가 독자세력화를 도모할지 통합정당에 합류할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한나라당 역시 변화가 불가피하다.

당장 박근혜 대표가 오는 16일 대선 출마를 위해 당 대표직을 사퇴한다.

이명박 서울시장과 손학규 경기지사도 대선 행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당 대표를 선출하는 7월 전당대회는 대권주자들의 대리전 양상을 띨 것이 확실하다.

박 대표와 이 시장의 한판 격돌이 불가피하다.

내년초 치러질 대선후보 경선의 전초전이다.

경선이 한쪽에 불리하게 돌아갈 경우 탈당 내지 분당으로 이어질 개연성은 충분하다.

개헌을 주장하는 의원들이 세를 규합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오지만,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당장 박근혜, 이명박 등 한나라당의 유력한 대권 주자들이 반대하고 있다.

현재 노 대통령은 개헌에 별 관심이 없어 보이고 열린우리당은 개헌을 주도할 힘이나 여력이 없다는 점에서 개헌 주장이 강력한 변수가 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뉴시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