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트 업(belt up)하라
벨트 업(belt up)하라
  • 충청타임즈
  • 승인 2011.02.08 21: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태재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상임대표>

목하 벨트(belt) 때문에 온 나라가 시끄럽습니다. 서로 자기 허리에 매겠다며 이전투구를 벌이고 있는 형국입니다. 당초 충청권벨트가 왜 이리 됐는가. 지난해 12월 예산국회 때 한나라당 단독으로 날치기를 하면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도 날치기 통과되면서 문제가 불거지기 시작했지요. 벨트를 누구 허리에다 맬 것인지 입지가 핵심인데, 이것을 명시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런 상황이 벌어지자 전국각지에서 서로 유치하겠다고 아우성을 치게 된 것입니다.

그까짓 허리띠 하나 가지고 뭐 그리 대순가 하겠지만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는 세계적 수준의 기초과학 연구거점을 구축하여 과학과 비즈니스의 융합을 통한 미래산업을 창출하는 것입니다. 국제(국제적 도시환경)+과학(기초과학연구)+비즈니스(응용기술사업화)가 하나의 띠로 연결되는 것이지요. 허리띠의 핵심은 버클일 텐데 바로 거점지구가 그것입니다. 기초과학연구원이 그 안에 세워지는데 3조617억 원이 투자되고, 3000명의 연구원이 일하는 기초과학종합연구기관입니다. 또 4600억 원을 들여 핵물리·원자력 관련분야 전문가용으로 중이온가속기를 설치하게 됩니다. 버클과 연결되는 띠는 기능지구라고 해서 거점도시(버클)의 기능적 공간적 네트워크 연계지역으로서 기술개발 결과를 산업화, 즉 생산 및 사업화를 함으로써 파생효과를 극대화한다는 개념입니다.

자, 어떻습니까? 이런 벨트를 누군들 탐내지 않겠습니까. 서로 차지하겠다고 잡아당기는 것은 인지상정이지요. 그러나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대전 대덕연구단지와 생명과학기술도시 오송, 정보기술단지 오창과 세종시'를 연결하는 입지의 최적성과 함께 행정도시 자족성을 충족해야 한다는 당위성입니다.

과학비즈니스벨트 논의의 출발점은 미국 실리콘밸리처럼 과학과 산업이 융합되고, 국가의 성장엔진이 되는 곳을 새롭게 만들겠다는 취지에서 시작된 것입니다. 실리콘밸리가, 하나의 클러스터가 자리 잡고 국가적 성장엔진이 되기까지 무려 90년이나 소요됐습니다. 한국의 대덕연구특구는 1973년에 입안돼 입주가 시작된 것은 1978년이고 완공된 것은 1992년으로 길게 보아 38년, 짧게 보아 19년의 역사를 안고 있고, 그래서 아직은 더 투자가 돼야 하는 곳이지요. 지금까지 투자된 인프라와 쌓여진 인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해야 세계적 수준의 과학연구거점을 완성할 수 있는 것입니다.

전국각지에서 경합을 벌이고 있습니다만 대부분 입지의 적정성, 즉 인프라와 수요자 두 측면에서 모두 한계가 있다는 지적입니다. 대구·경북 등 대부분의 지역은 과학 인프라가 부족하고 수요자와도 거리상으로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일본의 경우 오사카 교외에 'SPRING 8'이란 가속기를 만들었는데 수요자와의 거리로 인해 운영에 애로를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포항의 경우는 연약지반이라서 지속적인 보수가 필요하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지요. 수도권(과천)은 인프라와 수요자가 함께 있기는 하지만 수도권 집중이 더욱 가속돼 장기적으로 보아 국정운영에 걸림돌이 될 것이고, 수도권 이외 지역의 이용이 불편할 수밖에 없습니다.

정답은 하나뿐, 미처 꿰지 못한 벨트를 서둘러 채워야 이 소란을 잠재울 수 있습니다. 날치기 직후 발의한 수정안을 신속히 통과시키는 것입니다. 벨트 업(belt up)함으로써 전국적 아우성을 조용히! 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